Go to contents

이포보 간 MB 큰 일엔 원래 반대 많은법 (일)

이포보 간 MB 큰 일엔 원래 반대 많은법 (일)

Posted October. 24, 2011 03:46,   

日本語

이명박 대통령은 22일 경기 여주군 이포보에서 큰일에는 원래 반대가 많다. 역사적인 일에는 반대가 있기 마련이라며 4대강 사업 반대론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이날 전국의 16개 보(작은 댐) 가운데 한강 수역의 이포보 등 완공된 10개 보에서 4대강 새 물결맞이 행사가 열렸다. 이포보는 지난해 환경단체 간부 3명이 41일 동안 공사 크레인을 불법 점거하고 시위를 벌인 상징적인 장소다.

이 대통령은 이날 축사에서 대한민국의 4대강은 생태계를 더욱 보강하고 환경을 살리는 그러한 강으로 (다시) 태어났다고 평가했다.

이어 리셉션 등의 발언을 통해 나도 대학 때 (한일협정에) 반대했다. 반대하던 사람이 돌아서서 (결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뀌면 좋은 것이라며 여론의 호전 가능성에 기대감을 내비쳤다. 또 반대하는 사람이 남도 아니고 우리 품 안에 있는 사람이다. 반대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반대하는 분들은 내가 반대를 하니 (나의 반대) 목소리를 반영해서 (정부가) 더 잘 만들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위로받고, (서로 그렇게) 이해하고 존중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4대강 사업이 완성 단계(공정 93%)에 접어든 만큼 이 이상의 국론 분열을 중단하자는 제안이었다.

이 대통령은 4대강의 발전이 지역발전으로 연계되고, 강을 따라 민심도 좋아지는 게 저의 바람이라고 말했다. 또 서로 존중하고 아끼고 사랑하는 사회가 되어야 하는데 4대강이 그런 시발점이 될 것이라는 희망도 피력했다. 또 감격스러운 듯 오늘 저녁 정말 행복하다는 소감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화상 통화로 낙동강 영산강 금강 수계의 행사에 참석한 시민 및 공사 관계자들과 인사를 나눴다. 이어 3년 전 영산강에서 호남의 젖줄이라는 강이 오염돼 농사짓는 물로도 못 썼다. 당시 반대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렇게 좋아하더라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도산 (안창호) 선생이 90년 전 유럽을 다녀온 뒤 강을 그대로 두면 문명국가가 될 수 없다고 했다며 강산개조론을 거듭 강조했다. 도산 선생은 1919년 중국 상하이에서 한 연설에서 만약 산과 물을 개조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자연에 맡겨두면 산에는 나무가 없어지고 강에는 물이 마릅니다. 이 시기를 잃어버리면 천만년의 유한이 될 것이오라고 설파했다. 이 대통령은 이 글귀를 인쇄한 수첩을 지니고 있다가 주위 사람들에게 읽어주는 등 큰 애착을 보여 왔다.



김승련 sr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