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6년 1월 3일

보통사람들의 탄식 ‘이래서야 망하지 않고 배길쏘냐’

공유하기 닫기
원본보기
‘시골에서는 땅값이 오르고 서울에서는 집값이 뛰던 때입니다.’ 오해마세요. 지금이 아닙니다. 1926년 경성의 집주름, 요즘의 공인중개사가 15년 전을 떠올리며 한 말입니다. ‘합병 공로자’들이 일제로부터 받은 은사금으로 흥청거렸지만 돈을 집에 감춰두자니 강도 맞을까 겁나고 은행에 맡기자니 떼일까 염려돼 그중 튼튼한 대안이 부동산을 사두는 일이었다죠. 1000원에 산 집을 몇 달 만에 만 원 넘게 되팔았답니다. 900%가 넘는 수익률이었죠. 단박에 부자가 된 사람들이 있었답니다. 또 공문서를 써주는 한 대서인은 등기서류를 작성할 때마다 가슴이 뜨끔뜨끔하다고 했죠. 죄다 일본인에게 돈을 빌리고 저당권을 잡히는 등기여서 그랬답니다. 이런 등기가 매일 200건이니 망하지 않고 어찌 되겠느냐고 반문했죠.

조선인 최초로 도쿄사범학교를 졸업하고 20년째 중등교사로 일하는 장응진은 첫 근무지인 평양대성학교에서 자신의 '인도주의 교육철학'을 펼치지 못했다고 아쉬워했다. 교장인 도산 안창호가 나라가 망한 것은 백성이 문약한 까닭이라며 군대식 체조를 가르쳤고 사회분위기도 적개심이 높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교사 생활 내내 결근도 지각도 하지 않은 정성에 스스로 만족한다고 말할 뿐이었다.


동아일보는 1926년 신년호부터 ‘10년을 하루같이’를 16회 연재했습니다. 한 분야에서 10년 넘게 일한 직업인들 소개였죠. 이들의 삶은 그대로 일제강점기 사회사였습니다. 서대문형무소 간수는 대한제국 군인이었죠. 군대 해산 때 참령 박성환이 ‘목을 따고 피를 흘리든 일’이 선하지만 먹고 살려고 사환부터 시작했다죠. 의병으로 잡혀온 과거 군인들은 태반이 동료나 상관이어서 얼굴을 들 수 없었답니다. 감형으로 4, 5년 뒤 출소한 그들은 모두 ‘저쪽으로 나가버린 모양’이라고 했죠. 무장투쟁에 나섰다는 뜻이겠죠. 구세군 부관은 신규모집 때 해산군인들이 각지에서 쫓아와 뽑아달라는 통에 정신이 없었다고 했습니다. 진짜 군인을 선발하는 줄 알았던 것이죠. ‘의(義)의 검을 들고 세상의 죄악과 싸우는 일’이라며 말렸답니다.



소학교 여교사는 3‧1운동 전만 해도 학생들을 불러 모으느라 바빴다고 했죠. 며칠을 두고 학부모를 졸라야 했답니다. 학비를 내지 않아도 됐고요. 1920년 이후부터는 학생들이 넘치기 시작했다죠. 학비도 받고 학생들을 골라 뽑았답니다. 열아홉 살에 산파(産婆)가 돼 일찍부터 ‘할머니’ 소리를 들었던 33세 여인은 한탄을 앞세웠습니다. 산파를 산모나 아이를 잡는 귀신으로 보는 집들이 있다면서요. 자기 손으로 받은 아이만 800명이 넘는다며 산파는 필요한 직업이라고 홍보하기도 했습니다. 제국신문사 광문사 대한매일신보사 등을 두루 거친 인쇄공은 뾰족뾰족한 상투차림에 입담배를 꾹꾹 눌러 담은 곰방대를 빡빡 빨면서 활자를 뽑는 문선공 시절을 떠올렸습니다. 이젠 빛바랜 사진으로만 볼 수 있는 장면입니다.



16년간 무대에 섰던 희극배우는 1917년 무렵 신파연극 때만해도 대성공을 거둬 돈도 많이 벌었다고 했죠. 하지만 이젠 없어진 극단만 해도 50개 정도나 된답니다. 무대를 떠나는 사람도 적지 않고요. 세상이 배우를 업신여기기 때문일까 되묻습니다. 뭇 여성으로부터 염서(艶書)를 받지 않느냐 하자 ‘어느 잡놈이 그것 때문에 이 노릇을 하겠느냐’ 발끈했죠. 한성권번의 18년차 기생은 ‘할머니! 오늘은 어느 할아버지에게 불려갔소?’라고 청년들에게 조롱받지만 조실부모하고 16세 때 이 길에 들어섰다고 했습니다. 자기 허리를 껴안고 지폐로 코를 풀다시피 하던 한량은 아편장이가 됐고 이런 이들이 자기 인력거를 따라오며 ‘아씨, 돈 한 푼 줍쇼’ 하며 구걸한답니다. 예전 생각이 나서 얼마씩 준다죠.

32년째 구두를 만들고 있는 김성근은 조선인 최초로 개인 구두방을 차린 적도 있었지만 결국 실패했다고 한다. 제화공 중에는 자신과는 달리 성공한 사람들도 있다며 '이야기를 다 하자면 끝이 없다'고 했다. 18년간 편지를 배달하는 최윤덕은 오전 6시쯤 점심을 싸가지고 집을 나서 밤 9시에 귀가한다고 했다. 대부분 편지를 받아들고 기뻐하고 눈물까지 흘리는 모습을 많이 보았다고 말했다.


변호사 검사 형사 같은 전문직업인이나 공무원과 달리 이들은 과거보다 현재의 살림이 팍팍하다고 이구동성이었습니다. 자기 손으로 단발해준 사람만 2500명쯤 된다는 이발사는 이제 늙었으니 더 말할 것도 없다며 입을 닫았죠. 겨우 마흔일곱 살인데요. 이들 보통의 직업인들은 과거를 되새기며 ‘그렇게 어수룩한 세월이야 다시 오리라고 바랄 수 있겠느냐’는 심정이었습니다. 이들이 약 100년 뒤 오늘을 본다면 모두 입에 거품을 물고 기절하지 않을까요? 한 가지 특이한 점은 이 연재에 ‘끝’이 5번이나 나온다는 점입니다. 인기가 많아서 횟수를 자꾸 늘렸을까요? 아니면 내 사연도 써달라는 민원 때문일까요? 궁금할 뿐입니다.

기사입력일 : 2021년 10월 15일

(三‧3)십년을
하루갓치
日本人(일본인)은 債權者(채권자)로
朝鮮人(조선인)은 債務者(채무자)로
뎌당권 셜뎡이 하로에 이백여건식
한국 당년에는 대서업도 당당햇소


◇十五年間(15년간) 代書業(대서업) 沈聖澤(심성택)

재판소 압 행랑 뒷골목에 쑥 드러서서 버리집 가치 옹기송기 부터 잇는 대서소를 한 박휘 위에서부터 흘터 내려오다가 사법대서인(司法代書人) 심성택(沈聖澤)사무소라는 현판이 달린 집에 발길을 멈추엇다. 이 집 주인 심성택 씨는 설흔한 살 적부터 금년 마흔다섯 살 나는 때까지 십오년을 하로가치 남의 글만 써주고 사러온 사람인데 대서업자 중에서는 원로격으로 사법대서인 부회댱으로 잇는 중이라 한다. 『이러케 추우신데 방이 넘어 차서═좌우간 드러오십시오』하며 『에헴』 하고 기침을 한마듸 하고는 허멀숙한 손으로 화로를 미러 내놋는 품이 얼른보아도 대서인이다.

韓國時代(한국시대)에는
소지 쓰는 사람이엇다


씨가 처음으로 대서인이 되기는 지금부터 십오년 전 명치 사십오년 오월이라 한다. 그때까지는 조선에 아직 대서인이라는 것이 업고 녯날 한국시대부터 내려오든 한성재판소(漢城裁判所) 『소지 쓰는 사람』이 이십명 가량 남어 잇서 지금 대서인의 직업을 하든 때라고 한다. 나라가 밧귄 지 임의 잇해가 지난 명치 사십오년에 녯날 『소지 쓰는 사람』도 그대로 둘 수는 업섯든 것이엇는지 시내 오부 경찰본분서에서 비로소 처음으로 반은 명령뎍으로 대서인이라는 것을 몃 사람식 지뎡하게 되엿는데 씨가 뽑힐 때가 그때라 한다. 그때 나히 설흔하나이엇섯는데 그전 한국시대에는 궁내부(宮內府) 주사(主事)로 잇다가 궁내부가 업서진 후에 얼마동안 보통학교 훈도로 잇서 보앗스나 그도 합당치 못해 고만 두고 집에서 한가히 놀 때이엇댓는데 때맛츰 북부경찰서 서대문분서 서댱 림모(林某)의 추천으로 어렵지 안케 대서인이 되엿다고 한다. 그때 뎨일차로 씨와 가치 대서인이 되기는 오부를 합하야 열넷인가 다섯 명밧게 안이 되엿다고 한다.

當時(당시) 行□(행□)堂堂(당당)
지금은 우습게 보지만


씨는 신이 나서 말을 게속한다. 『지금은 대서인이 이백명에 갓가울 뿐더러 사람들도 깨여서 대서인을 우습게 보지마는 그때야말로 호랑이 담배 먹든 시절이엇슴으로 대서인 행세도 관치안엇지오. 허가를 맛고 즉시 서대문분서 압헤 한간 방을 빌고 대서소를 열엇섯는데 엇더케 집이 흔하엿든지 집세를 주지 안코 거저 잇다가 일년이 지나서부터야 일원식인가 일원오십전식인가 주기 시작햇슴니다. 지금은 물정이 맑어저서 민경뎡찰이니 무엇이니 하는 새말이 생기여 웬만한 청원 가튼 것은 경찰서에 가서 이야기만 하여도 되고 민적 등본 하부원 가튼 것도 아모개나 써가지고 가면 그만이지마는 그때에야 참 어려웟지오. 대서인이 쓰지 안은 것은 안밧다 십히 햇스니 그러케 어수룩한 세월이야 다시 오리라고 바랄 수야 잇겟슴니까마는 이 모양으로 가다가는 아주 밥주머니가 떠러질 형편임니다.

同業者(동업자) 二百名(2백명)
버리가 잇서야지요


지금은 근 이백명의 대서인이 여긔저긔 엇던 데는 한 집에 두세 사람식 문패를 걸고 밧삭 대여서서 야단을 치니 드러다 보히는 세상에 먹을 것이 무어 잇겟슴니까마는 녯날 생각을 하면 지금도 관치 안치오. 한참 동안 민적을 하게 할 때에는 손이 열이 잇서도 못 당하는 형편이엇스니까요. 아마 그때 내 손으로 내여준 것만 하여도 근 이만명은 될 터이니 그만한 버리가 어듸 잇섯겟슴니까. 요새야 무엇이 잇슬 리가 잇서야지요. 천원 이상의 소송사건은 변호사가 마터 가지고 웬만한 청원서는 당사자가 써 가지고 가고 오직 드러 온다는 것이 멧푼어치 아니되는 등긔서류나 소장 아니면 결혼신청 가튼 것이지요. 그러나 요새는 결혼신청도 자긔네끼리 써서 밧치는 것이 만허서 한주일에 하나나 잇는지 업는지 하는 판이구요. 등긔서류 가튼 것이 얼마 잇스나 그도 멧푼 생김니까. 십여년 전 쌀 한 되 구전이나 십전 할 때에도 한 댱에 십전 밧든 것이 지금 사십전 오십전 할 때에도 십전밧게 더 못 밧게 하니 어듸 먹고 살 수가 잇서야지요. 더욱 지난 오월엔가 사법대서인 규뎡이 난 뒤에는 더 박해저서 소장 가튼 것도 한 벌에 일원 이상 이원까지 밧든 것이 깍기여 지금은 한 댱에 십팔전을 밧게 하니 소장 한 벌이 깃껏하야 다섯장이 넘어감니까. 나날이 박절해가는 이 살림이야 참말 일 낫지오. 나는 그래도 오랜 경험으로 부지나 하여 감니다마는 유형무형으로 지내는 동업자가 얼마나 만흔지 모르지오.

職業(직업)도 沒趣味(몰취미)
뎌당 등긔는 조선인만


수입은 적더라도 직업에 취미나 붓흘 것 가트면 그래도 붓 잡고 견듸여 보겟는데 그럿치도 못함니니다그려. 결혼이나 출생신고 가튼 것은 다만 한 댱을 써주고 멧십전을 바더 먹든지 간에 맘은 평안한 일임니다마는 등긔라는 놈은 한 댱 쓸 때마다 가슴이 뜩근뜩근함니다. 요새 등긔라니 열이면 열까지 조선사람이 일본사람에게 문서 잡히는 노름이니 엇지 가튼 사람으로 생겨서 맘이 편할 리가 잇슴니까. 가만히 안저보니 매일 재판소에 접수되는 것이 평균 이백건은 되는가 보니 이래서야 망하지 안코 엇지 되겟슴니까. 종로거리로제라고 벗틔고 다니는 량반네들도 열명 잡고 여덜명은 제 문서를 지니지 못하엿지오. 조선사람끼리면 감액등긔를 하는 것도 잇는 듯함니다만은 일본사람하고 맛서노면 감액은 해볼 념을 못하고 뎨이 뎌당 뎨삼 뎌당으로 증액뿐이니 대정 구년 이후로 우리 대서업자도 말이 아니거니와 너나 할 것 업시 꼴이 한 모양인가 봄니다. 우리가 한 장만 쓰면 한 놈식 망하고 보니 버리도 업는 걸 고만둔다고 몃 번이나 별럿지만은 구복이 원수라 그냥 붓 잡고 속을 썩임니다.


(3) 10년을 하루같이
일본인은 채권자로
조선인은 채무자로
저당권 설정이 하루에 200여건씩
대한제국 당시에는 대서업도 당당했소


◇15년간 대서업 심성택◇

재판소 앞 행랑 뒷골목으로 쑥 들어가서 벌이집 같이 옹기종기 붙어있는 대서소를 한 바퀴 위에서부터 훑어 내려오다가 사법대서인 심성택 사무소라는 현판이 달린 집에 발길을 멈추었다. 이 집 주인 심성택 씨는 31세 때부터 올해 45세 되는 때까지 15년을 하루같이 남의 글만 써주고 살아온 사람이다. 대서업자 중에서는 원로격으로 사법대서인 부회장으로 있다고 한다. “이렇게 추운데 방이 너무 차서, 좌우간 들어오십시오” 하며 “에헴” 하고 기침을 한마디 하고는 허여멀건 손으로 화로를 밀어 내놓은 자세가 얼른 보아도 대서인이다.

한국시대에는
소지 쓰는 사람이었다


그가 처음으로 대서인이 된 것은 지금부터 15년 전 1912년 5월이었다고 한다. 그때까지 조선에 아직 대서인이라는 직업이 없고 옛날 대한제국 시대부터 내려오던 한성재판소 ‘소지 쓰는 사람’이 20명 가량 남아 있어 지금 대서인의 일을 하던 때라고 한다. 나라가 바뀐 지 이미 2년이 지난 1912년에 예전 ‘소지 쓰는 사람’도 그대로 둘 수는 없었던 것인지 시내 5개 경찰본분서에서 비로소 처음으로 반은 명령조로 대서인이라는 것을 몇 사람씩 지정하게 되었고 그가 뽑힐 때가 그때였다고 한다. 그때 나이 31세였는데 그전 대한제국 시대에는 궁내부 주사로 있다가 궁내부가 없어진 후 얼마동안 보통학교 교사로 있어 보았지만 그것도 마음에 들지 않아 그만 두고 집에서 한가하게 놀 때였다. 때마침 북부경찰서 서대문분서 서장 임모의 추천으로 어렵지 않게 대서인이 되었다고 한다. 그때 제1차로 그와 같이 대서인이 된 사람은 5부를 합해 14명인가 15명밖에 안 되었다고 한다.

당시 행□당당
지금은 우습게 보지만


그는 신이 나서 말을 계속한다. “지금은 대서인이 200명에 가까울뿐더러 사람들도 깨쳐서 대서인을 우습게 보지만 그때야말로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이었으므로 대서인 행세도 괜찮았지요. 허가를 맡고 즉시 서대문분서 앞에 한 칸 방을 빌리고 대서소를 열었는데 어떻게 집이 흔했던지 집세를 주지 않고 공짜로 있다가 1년이 지나서부터야 1원씩인가 1원50전씩인가 주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세태가 맑아져서 민정경찰이니 무엇이니 하는 새말이 생기고 웬만한 청원 같은 것은 경찰서에 가서 이야기만 해도 되고 민적 등본 증명서 같은 것도 아무렇게나 써가지고 가면 그만이지만 그때에야 참 어려웠지요. 대서인이 쓰지 않은 것은 안 받다시피 했으니 그렇게 어수룩한 세월이야 다시 오리라고 바랄 수야 있겠습니까마는 이 모양으로 가다가는 아주 밥주머니가 떨어질 형편입니다.

동업자 200명
벌이가 있어야지요


지금은 거의 200명의 대서인이 여기저기 어떤 곳은 한 집에 두세 사람씩 문패를 걸고 바싹 붙어서 야단을 치니 들여다보이는 세상에 먹을 것이 무엇 있겠습니까마는 옛날 생각을 하면 지금도 괜찮지요. 한참 동안 민적을 하게 할 때는 손이 열이 있어도 감당하지 못하는 형편이었으니까요. 아마 그때 내손으로 내어준 것만 해도 근 2만 명은 될 터이니 그만한 벌이가 어디 있었겠습니까. 요새야 무엇이 있을 리가 있어야지요. 1000원 이상의 소송사건은 변호사가 맡아 가지고 웬만한 청원서는 당사자가 써 가지고 가고 오직 들어온다는 것이 몇 푼어치 되지 않는 등기서류나 고소장 아니면 결혼신청 같은 것이지요. 그러나 요새는 결혼신청도 자기네끼리 써서 제출하는 것이 많아서 일주일에 하나나 있는지 없는지 하는 판이고요. 등기서류 같은 것이 얼마 있지만 그도 몇 푼 생깁니까. 10여 년 전 쌀 한 되 9전이나 10전 할 때에도 한 장에 10전 받던 것이 지금 40전 50전 할 때도 10전밖에 더 못 받게 하니 어디 먹고 살 수가 있어야지요. 더구나 지난 5월엔가 사법대서인 규정이 생긴 뒤에는 더 박해져서 고소장 같은 것도 한 벌에 1원 이상 2원까지 받던 것이 깎여서 지금은 한 장에 18전을 받게 하니 고소장 한 벌이 기껏해야 5장이 넘어갑니까. 나날이 박절해가는 이 살림이야 참말 일 났지요. 나는 그래도 오랜 경험으로 버티어 가지만 유형무형으로 지내는 동업자가 얼마나 많은지 모르지요.

직업도 몰취미
저당 등기는 조선인만


수입은 적더라도 직업에 취미나 붙을 것 같으면 그래도 붓을 잡고 견디어 보겠는데 그렇지도 못합니다그려. 결혼이나 출생신고 같은 것은 단지 한 장을 써주고 몇십 전을 받아먹든지 간에 마음은 편안한 일입니다만 등기라는 놈은 한 장 쓸 때마다 가슴이 뜨끔뜨끔합니다. 요새 등기라니 열이면 열까지 조선사람이 일본사람에게 문서 잡히는 놀음이니 어찌 같은 사람으로 생겨서 마음이 편할 리가 있습니까. 가만히 앉아서 보니 매일 재판소에 접수되는 것이 평균 200건은 되는가 보든데 이래서야 망하지 않고 어떻게 되겠습니까. 종로거리로 내로라 버티고 다니는 양반네들도 열 명 잡고 여덟 명은 자기 문서를 지니지 못하였지요. 조선사람끼리면 감액등기를 하는 것도 있는 듯합니다만 일본사람하고 맞서놓으면 감액은 해볼 엄두를 못하고 제2 저당, 제3 저당으로 증액뿐이니 1920년 이후로 우리 대서업자도 말이 아니거니와 너나 할 것 없이 꼴이 한 모양인가 봅니다. 우리가 한 장만 쓰면 한 놈씩 망하고 보니 벌이도 없는 걸 그만둔다고 몇 번이나 별렀지만 먹고사는 것이 원수라 그냥 붓 잡고 속을 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