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4월 1일

창간 4주년 동아일보의 4대 약속…잘 지켰을까?

공유하기 닫기
원본보기
1924년 4월 1일 동아일보가 네 돌을 맞았습니다. 임직원들은 4년이 아니라 한 10년은 지났다고 느꼈을 법합니다. 일제의 압박이 심했던 반면에 독자들의 기대는 컸으니까요. 그동안 한 차례 무기정간에 손가락으로 꼽을 수 없을 만큼의 압수와 삭제를 당했습니다. 그래도 독자들을 믿고 민족 해방과 신문화 건설의 양대 과제를 향해 한 발 한 발 나아갔습니다. 이날 자 사설에서 ‘왈 청년운동, 왈 사회운동, 왈 물산장려, 왈 민립대학의 각 방면 운동에서 항상 고무 진작의 임무를 맡았다’고 스스로 평가한 근거였죠. 사설의 표현 그대로 ‘마음과 힘을 다했고 민중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기를 전전긍긍’한 4년이었습니다.




5년차에 접어든 동아일보는 새롭게 네 가지를 약속했습니다. 그 첫째가 4월 1일부터 우리 신문 역사상 처음으로 지방판을 발행한 것이었죠. 이즈음 지국체제와 통신기관이 갖춰져 지방기사가 말 그대로 폭주했습니다. 하지만 총 4개면에 지방기사를 양껏 실을 수는 없었죠. 지면 수를 늘리자니 구독료를 올려야 했습니다. 궁하면 통한다고 했던가요. 돌파구를 찾아냈습니다. 바로 지방판 제작이었죠. 제3면을 △중앙판 △삼남판 △서북판으로 각각 만들었습니다. 중앙판에는 경기도, 삼남판에는 충청‧전라‧경상도, 서북판에는 강원‧황해‧평안‧함경도 기사를 실어 해당 지역에 보냈죠. 쪽수는 그대로여도 내용은 한층 충실해졌습니다.




둘째는 새 사옥을 짓는 것이었죠. 사옥 건설은 창간 때부터의 꿈이었으나 그동안은 옛 중앙학교 건물이었던 종로구 화동의 한옥을 썼습니다. 깨진 창문과 금간 벽 사이로 바람과 눈, 비가 대책 없이 밀려들던 월세살이였죠. 이제 경영이 꽤 안정되고 사원수도 늘어나 신사옥 건축을 더 이상 미룰 수 없었습니다. 이 해 1월 임시중역회의에서 주주들이 1주당 12원 50전을 납부해 자금을 마련하기로 했죠. 3월에는 광화문에 144평을 사들여 신사옥 마련을 위한 첫 발을 뗐습니다. 6개월 뒤에는 177평을 추가로 매입해 한 발 더 나아갔죠.




셋째는 윤전기 증설이었습니다. 1920년 7월부터 시간당 약 2만 매를 찍는 마리노니 윤전기를 가동하고 있었지만 늘어나는 부수를 감당할 수 없었죠. 당시 신문 독자가 급증한 것은 세계적 현상이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이었을 겁니다. 그러다보니 윤전기 제작기술도 하루가 다르게 발전했습니다. 어제 최신 윤전기가 오늘이면 구식이 된다는 말이 나돌 정도였죠. 가격도 비싼 만큼 새 윤전기 선택은 고심에 고심을 거듭해야 하는 사안이었지만 일단 새로 장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마침 새 윤전기를 설치할 새 사옥도 짓기로 했으니까 시점도 맞춤했죠.




마지막으로 지방순회통신제도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경성의 본사 기자가 직접 지방취재에 나서는 방식이죠. 이미 각 지방에 지국과 분국이 200곳을 헤아리는 판에 이 무슨 중복업무인가라는 생각이 들 법도 합니다. 하지만 현지 기자가 당연하게 여기는 사안도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고 각 지역 현안을 새롭게 조명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죠. 동아일보를 전국지로 끌어올리는 효과도 기대할 만했습니다. 이 기회에 ‘학교역방기’를 연재해 지방교육 발달의 촉매역할도 하고 고군분투하는 교육공로자도 소개하기로 했죠.




하지만 이상 네 가지 약속 중 지방판 발행을 제외한 세 가지는 해를 넘겨서야 가까스로 착수할 있었습니다. 신사옥 착공과 고속 윤전기 도입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했죠. 그런데 주주들이 돈을 내지 않아 속도를 높일 수 없었습니다. 1925년 2월에 미납 주주들에게 2차 독촉장을 보내야 할 지경이었죠. 지방순회통신제도 지연은 1924년 창간기념일 바로 다음날인 4월 2일 발생한 ‘식도원 폭행사건’으로 사내에 분란이 일어난 탓이었습니다. 이 내용은 다음 기회에 살펴보겠습니다.

이진 기자 leej@donga.com
기사입력일 : 2021년 03월 09일
本報(본보) 創刊(창간) 四週年(4주년) 紀念(기념)

一(1)
每樣(매양) 사람은 過去(과거)를 回顧(회고)하는 것보다 心緖(심서)가 緊張(긴장)할 때가 업스며 또 그 回顧(회고)하는 바 過去(과거)의 經歷(경력)이 複雜(복잡)하면 複雜(복잡)할사록 사람의 感慨(감개)는 더욱 깁다. 이제 本報(본보)의 生命(생명)이 創刊(창간)한지 四週年(4주년)만의 돌을 當(당)한 오날에 와서 지내간 三年(3년) 동안의 여러 가지 所經事(소경사)를 생각하면 實(실)로 萬(만)가지 懷抱(회포)가 우리의 胸臆(흉억)에 가득하다. 그 中(중)에는 우리의 이즈랴 하야도 이즐 수 업는 모든 쓰리고 압흔 늣김도 만흐며 또 그럿치 안코 그리운 歡喜(환희)와 만흔 感激(감격)이 우리의 온 마음에 배는 것도 잇다. 이와가치 모든 喜悲(희비)의 合奏曲(합주곡)이 우리의 心調(심조)에 읍조릴 때 우리는 우리 스사로 無我(무아) 三味(삼미)의 奧境(오경)에 低徊(저회)할 수밧게 업다.

二(2)
本報(본보)의 生命(생명)이 朝鮮(조선) 二千萬(2천만) 民衆(민중)의 만흔 期待(기대) 가운대에서 誕生(탄생)하기는 卽(즉) 今日(금일)부터 四年(4년) 前(전) 卽(즉) 一千九百二十年(1920년) 四月(4월) 一日(1일)에야 그 첫소리를 發(발)하얏든 것이다. 그때는 正(정)히 三一運動(삼일운동)이 비롯한 그 翌年(익년)이요 또 巴里講和會議(파리강화회의)가 끗나서 겨우 半年(반년) 有餘(유여)를 지내엿쓸 뿐이엇다. 이리하야 한쪽으로는 民衆運動(민중운동)이 急先鋒(급선봉)으로 自處(자처)하야 朝鮮民衆(조선민중)의 率直(솔직)한 意思(의사)를 代表(대표)하얏스며 또 한쪽으로는 世界(세계) 改造運動(개조운동)의 磅礡(방박)한 新機運(신기운)에 翼參(익참)하야 朝鮮新文化(조선신문화) 建設(건설)의 大理想(대이상)을 把持(파지)하얏다. 다시 말하면 一(1)은 朝鮮民衆(조선민중)의 解放(해방)을 부르지저 自由(자유) 平等(평등)의 基調(기조)를 確立(확립)하랴 함이요 又(우) 一(1)은 우리의 萬人平等(만인평등)의 土臺(토대) 우에 우리의 新文化(신문화)를 建設(건설)코자 한 것이엇다.

三(3)
爾來(이래) 四年(4년)의 時日(시일)을 經過(경과)하는 등안 우리의 把持(파지)하는바 이 本領(본령)과 이 綱領(강령)의 아레에서 우리는 오즉 우리의 堅壘(견루)를 持守(지수)하야 確乎不動(확호부동)의 態度(태도)를 取(취)하얏스며 다시 時運(시운)의 機微(기미)와 人心(인심)의 趨勢(추세)를 觀察(관찰)하야 民族精神(민족정신)의 振作(진작)을 鼓吹(고취)하얏다. 그러고 曰(왈) 靑年運動(청년운동) 曰(왈) 社會運動(사회운동) 曰(왈) 物産?勵(물산장려) 曰(왈) 民立大學(민립대학)의 各方面(각방면) 運動(운동)에 對(대)하야 恒常(항상) 鼓舞(고무) 振作(진작)의 任(임)에 當(당)한 것은 決(결)코 吾人(오인)의 自畵自讚(자화자찬)이 아닐 것이다. 要(요)컨대 本報(본보)의 生命(생명)은 오즉 本報(본보)가 把持(파지)하는바 그 主義(주의)와 本領(본령)에 잇슬 뿐이오 이 主義(주의)와 本領(본령)을 爲(위)하야 우리는 盡心竭力(진심갈력)하얏스며 다만 朝鮮(조선) 全民衆(전민중)의 重(중)한 期待(기대)에 辜負(고부)치 안키를 戰々兢々(전전긍긍)하엿슬 뿐이엇다.

四(4)
勿論(물론) 世波(세파)는 不穩(불온)한 것이 事實(사실)이다. 侃直(간직)한 筆陣(필진)에 官權(관권)의 壓迫(압박)이 附隨(부수)하며 不羈(불기)의 猪突(저돌)에 情實(정실)의 纏綿(전면)이 업지 아니치 못하다. 그러나 이 壓迫(압박)이 纏綿(전면)을 다 正面(정면)으로 對立(대립)하야 毅然(의연)히 所信(소신)을 斷行(단행)하는데 本報(본보)의 本報(본보)인 生命(생명)이 잇다. 於是(어시)에 官權(관권)으로부터의 停刊(정간)의 威脅(위협)과 押收(압수)의 被禍(피화)가 本報(본보)로서는 恒茶飯事(항다반사)라 殆(태)히 迎接(영접)에 不遑(불황)할 바이어니와 또 한 方面(방면)으로는 複雜(복잡)한 思想界(사상계)가 平地(평지)의 波瀾(파란)을 惹起(야기)하야 疑雲浮說(의운부설)이 不無(불무)하엿다. 滿天下(만천하) 讀者(독자)의 迷惑(미혹)이 또한 如何(여하)하엿슬가.

五(5)
그러나 本報(본보)의 所信(소신)이 이미 金石(금석)과 가치 구드며 또 本報(본보)의 背後(배후)에 滿天下(만천하) 讀者(독자)의 愛護(애호)가 至極(지극)한 以上(이상) 本報(본보)는 如何(여하)한 難關(난관)이 잇다 할지라도 다못 奮力前進(분력전진)할 뿐이다. 이제 本報(본보)의 生命(생명)이 네 돌을 맛는 오늘을 當(당)하야 朝鮮民族(조선민족)의 忠直(충직)한 生活史(생활사)로 自任(자임)하는 本報(본보)의 過去(과거)를 回顧(회고)할 때 또한 우리 民族(민족)의 여러 가지 喜悲(희비)를 聯想(연상)치 안할 수 업는 것을 特(특)히 記憶(기억)하는 것이다.


본보 창간 4주년 기념

1.
항상 사람은 과거를 되돌아보는 것보다 생각이 긴장할 때가 없으며 또 그 되돌아본바 과거의 지나온 날이 복잡하면 복잡할수록 감회는 더욱 깊다. 이제 본보의 생명이 창간한지 4주년을 맞은 오늘에 와서 지나간 3년 동안의 여러 가지 겪어온 일을 생각하면 정말이지 만 가지 회포가 우리 가슴속에 가득하다. 그 중에는 우리가 잊으려고 해도 잊을 수 없는 온갖 쓰리고 아픈 느낌도 많고 또 그에 반하여 그리운 환희와 많은 감격이 우리의 온 마음에 배어 있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모든 희비의 합주곡이 우리 마음의 가락에 울릴 때 우리는 우리 스스로 나를 잊은 채 삼현금의 깊은 경지를 오갈 수밖에 없다.

2.
본보의 생명이 조선 2000만 민중의 많은 기대 가운데에서 탄생하기는 이날로부터 4년 전 즉 1920년 4월 1일에야 그 첫소리를 내었던 것이다. 그때는 바로 3‧1운동이 일어난 그 다음해요 또 파리강화회의가 끝나서 겨우 반년 남짓 지났을 뿐이었다. 그래서 한쪽으로는 민중운동이 급선봉을 자처하여 조선민중의 솔직한 의사를 대표하였으며 또 한쪽으로는 세계 개조운동의 가득한 신기운에 적극 참여하여 조선신문화 건설의 큰 이상을 거머쥐었다. 다시 말하면 하나는 조선민중의 해방을 부르짖어 자유 평등의 기조를 확립하려고 하였고 또 하나는 만인평등의 토대 위에 우리의 신문화를 건설하려고 한 것이었다.

3.
이후 4년의 시일이 지나는 동안 우리가 거머쥔 이 본령과 이 강령 아래에서 우리는 오직 우리의 견실한 보루를 유지하고 지켜 확실하고 흔들리지 않는 태도를 가졌으며 다시 시운의 상태와 인심의 추세를 관찰하여 민족정신을 떨쳐 일으키도록 고취하였다. 그리고 말하기를 청년운동, 말하기를 사회운동, 말하기를 물산장려, 말하기를 민립대학의 각 방면 운동에 대하여 항상 고무 진작의 임무를 맡은 것은 결코 우리의 자화자찬이 아닐 것이다. 요컨대 본보의 생명은 오직 본보가 거머쥔바 그 주의와 본령에 있을 뿐이고 이 주의와 본령을 위하여 우리는 마음과 힘을 다하였으며 다만 조선 모든 민중의 무거운 기대에 어긋나지 않기를 전전긍긍하였을 뿐이었다.

4.
물론 사회의 형편은 불온한 것이 사실이다. 강직한 필진에 관권의 압박이 따라붙고 거침없는 저돌성에 정실의 얽힘이 없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이 얽히고설킨 압박을 모두 정면으로 맞서 의연하게 소신을 단행하는데 본보가 본보인 생명이 잇다. 여기에 관권으로부터 정간의 위협과 압수의 화를 당하는 것이 본보로서는 밥과 차를 먹고 마시듯 거의 겨를이 없었거니와 또 한 방면으로는 복잡한 사상계가 평지풍파를 일으켜 의혹과 뜬소문이 없지 않았다. 만천하 독자는 얼마나 홀리듯 하였을까.

5.
그러나 본보의 소신이 이미 금석과 같이 굳으며 또 본보의 뒤에는 만천하 독자의 애호가 지극한 이상 본보는 어떠한 난관이 있다 하더라도 다만 힘을 내 전진할 뿐이다. 이제 본보의 생명이 네 돌을 맞는 오늘을 마주하여 조선민족의 충직한 생활사로 자임하는 본보의 과거를 돌아볼 때 또한 우리 민족의 여러 가지 희비를 연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을 특히 기억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