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2년 10월 7일

지금 조선에 가장 필요한 것? 바로 으랏차차(義如此)

공유하기 닫기
원본보기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고 수탈에 신음하던 1920년대의 동아일보를 보면 ‘제2국민’이란 말이 종종 등장합니다. 비록 기성세대는 꿈도 희망도 가물가물해졌지만 장차 나라를 이어받을 제2국민, 즉 우리 아이들만큼은 건장한 신체와 강건한 정신을 겸비한 재목으로 길러내자는 염원을 담은 표현이었죠. 3·1운동 이후 기독교와 천도교 단체에 소년부가 설치되고 조선 각지에 소년단체가 속속 생겨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이런 움직임은 1922년 일대 전기를 맞습니다. 10월 5일 계동 중앙고보 뒤뜰에서 발대식을 갖고 ‘조선소년척후군’이 탄생한 겁니다. 이들은 매주 모여 등산, 수영, 노 젓기, 야영과 같은 자체활동을 하는 외에 수해 때 이재민 구제에 나서는 등 사회봉사도 활발히 했습니다. 적의 형편이나 지형을 정찰·탐색한다는 뜻의 척후(斥候)는 영어로는 스카우트(scout)이니 짐작할 수 있으시겠죠? 바로 한국스카우트의 원조였던 거죠.

이즈음 중앙기독교청년회(YMCA)에서도 ‘소년척후단’을 창설해 조선소년척후군은 자연스럽게 ‘조선소년군’으로 불렸습니다. 소년척후단이 종교적 색채가 짙고 순수 보이스카우트 운동을 지향했다면 조선소년군은 규율이 더 엄격했고 무엇이든 ‘조선식’을 앞세우는 민족적 성향이 특징이었죠. 이들은 3·1운동 5주년인 1924년 3월 1일을 기해 ‘소년척후단 조선총연맹’으로 통합했지만 이 같은 노선 차이 때문에 얼마 못가 갈라서게 됩니다.

1922년 10월 5일 중앙고보 뒤뜰에서 열린 조선소년군 발대식. 단복과 모자를 쓴 8명의 대원이 척후기를 들고 도열해 있다. 이들 앞에 선 사람은 조선소년군을 만든 중앙고보 체육교사 조철호 선생으로 보인다.
동아일보는 1922년 10월 7일자 3면 ‘조선 초유의 소년군’ 기사에서 8명의 대원이 단복을 차려입고 척후기를 든 사진을 곁들여 조선소년군 창설 소식을 전하며 ‘용감한 기운을 기르고 남을 위해 희생하는 고상한 인격을 갖추게 하는 게 목적’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이어 다음날에는 1면 사설 ‘조선소년군의 조직’을 통해 ‘용기와 의로움을 갖춘 제2국민의 양성은 민족의 흥망성쇠를 결정한다. 소년군은 작은 시험이지만, 그것이 미칠 영향은 크기를 짐작하기 어렵다’고 큰 기대를 나타냈죠.

조선 최초의 보이스카우트, 조선소년군을 창설한 조철호. 독립운동가이기도 했던 그는 소년들이 강건한 정신과 건장한 신체를 갖춰야 우리 민족의 영생을 꿈꿀 수 있다고 믿고 소년운동에 투신했다.
조선소년군이 민족을 강조하게 된 것은 무엇보다 설립자인 관산 조철호의 영향이 큽니다. 구한말 열강의 틈에서 나라를 지키려면 국방을 튼튼히 해야 한다고 생각해 대한제국 무관학교에 다니던 관산은 일제에 의해 학교가 폐교되자 일본 육사로 옮겨 군인의 꿈을 완성합니다. 귀국 후 용산에서 일본군 장교로 근무하던 그는 군사기밀을 빼내 만주로 망명하다 체포됐지만 간신히 악형을 면하고 평북 정부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죠. 여기서 3·1만세시위를 주도해 다시 옥고를 치른 관산은 중앙고보 체육교사로 부임해 본격적인 소년운동에 투신합니다.

창단 초기의 조선소년군기. 세 개의 잎사귀는 만국 공통이지만 조선소년군은 ‘조선식’을 강조해 우리 민족의 용맹함을 표현한 호랑이와 항상 준비하는 사람이 되자는 뜻의 ‘준비’를 한글 낱자로 그려 넣었다. 중앙교우회 제공


그가 조선소년군을 창설하고 일반 학생들에게도 군대식 체조를 시키자 “군국주의 산물이니 폐지하는 게 옳다”는 곱지 않은 시선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관산은 “느른한 잠꼬대 같은 소리”라고 일축했죠. 1924년 동아일보 신년호 인터뷰에서는 “심하다고 할지 몰라도 겁 많고 용기 없는 조선에는 군국주의 정신이 필요하다”며 “그래야 우리 것 빼앗아가는 놈에게 큰소리라도 해보는 용기를 기를 수 있지 않겠는가”라고 맞받아치기도 했습니다.

1937년 해산당하기 직전의 조선소년군 휘장. 조선소년군이 청소년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점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일제는 휘장의 무궁화 도안과 태극문양, 한글 낱자 ‘준비’를 트집 잡아 일본 보이스카우트 편입을 강요하며 해산을 종용했다. 중앙교우회 제공
관산은 1926년 6·10만세운동 때 학생들을 배후 지원하다 또 체포돼 일제의 압력으로 중앙학교를 사직했지만 북간도에 망명해 소년 독립군을 길러냈고, 그 후 돌아와 동아일보에 적을 두고는 조선소년군 재건을 본격화했습니다.

2008년 3월 서울 중앙중에 세워진 한국스카우트 발상지 비. ‘조철호 선생이 조국 광복과 민족 갱생 노력의 일환으로 청소년의 심신을 단련하고, 민족주의와 자유사상을 배양하기 위해···’라며 조선소년군 창설의 의미를 되새겼다. 중앙교우회 제공
조선소년군의 구호는 ‘의여차(義如此)’였습니다. 1933년부터 발간된 조선소년군 기관지도 의여차였죠. 한자로는 의로움이 이와 같다, 이 같이 의로운 사람이 되자 정도로 풀이할 수 있겠는데 예부터 여럿이 함께 힘든 일을 할 때 일제히 소리 내는 “어기여차”, “어여차”와도 비슷합니다. 이리 보나 저리 보나 조선소년군에 딱 들어맞는 구호인 것 같습니다.

정경준 기자 news91@donga.com기사입력일 : 2021년 01월 22일
朝鮮(조선) 初有(초유)의 少年軍(소년군)

됴쳘호 씨 등 유지의 발긔로
오일 오후에 발회식을 거행


조선에서 처음으로 『조선 소년 척후군(朝鮮 少年 斥候軍·조선 소년 척후군이 생)기엇다. 소년군(일명은 동자군)이라는 것은 원래 서력 일천구백칠년에 영국 륙군 중장 『파덴, 바우엘』 씨가 창설한 것인대 목뎍은 순연히 아동의 텬진스럽고 활발한 텬성을 잘 발달식히어 남자다운 용감한 긔운을 기르는 동시에 남을 위하야 자긔를 희생에 밧치는 고상한 인격을 만들고자 함이라.

이럼으로 그 운동이 생기인지 겨우 십여 년 동안에 전 세계에 퍼지어 구미 각국 가튼 문명국은 물론 인도(印度·인도) 중국(中國·중국) 일본 등 동양 각국에까지 소년군이 생기엇스나 조선에는 아즉 이 계획이 업섯더니 시내 중앙고등보통학교(中央高等普通學校·중앙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잇는 조텰호(趙喆鎬·조철호) 씨 외 여러 유지의 발긔로 조선에서 처음으로 조선 소년 척후단을 조직하야 재작일 오후 네시 반에 발회식을 하얏는대

먼저 푸른 모자에 누른 빗을 띄운 연회색 군복을 입고 분홍빗 의장을 달고 홍백의 척후긔(斥候旗·척후기)를 가진 소년 여달 명이 용장하게 중앙학교 후원에 모히어 정제히 러느선 후 여러 유지가 렬석하고 인도자 조텰호 씨가 소년군이 생긴 후로 사회의 유익을 낏친 실례를 들어 취지를 설명하고 소년군들의 이때까지 배혼 재조를 시험한후 소년군 중 한 사람이 례사를 베풀고 폐회하얏다.

이에 대하야 발긔자인 조 씨는 말하되 『영국에서 처음으로 이 운동이 이러난 후 세계 각국에서 채용하야 만흔 효과를 엇고 현재 전 세계에 널녀 잇는 회원이 팔백만 명인대 자유와 의리를 존중하는 점에는 도로혀 압제뎍인 군대 교육보다도 낫다는 평판이 잇슴니다. 더욱 조선 소년 가치 나약한 소년은 크게 이런 운동을 장려하야 용감하고 고상한 긔풍을 기를 필요가 잇슴니다. 그러나 이것은 장래의 조선을 위하야 만히 생각하야 주시는 유지의 찬조를 엇지 아니하면 도뎌히 효과를 어들 수 업슴니다. 처음 일이닛가 먼저 여달명만 중등학교 학생 중에서 뽑아서 조직하얏는대, 장래 팔세 이상 이십세 이내의 소년으로 부모나 기타 감독자의 허락을 어더서 입단하기를 원하면 엇더한 사람이든지 허락할 터이라. 이와 가치 조직된 척후단은 매 주일에 한번식 모히어 산에 오르기, 배 젓기, 혜염 치기, 기타 군대생활에서 하는 야영(野營·야영) 가튼 것을 가르칠 터이라』고 하더라.
조선 초유의 소년군

조철호 씨 등 유지의 발기로
5일 오후 발회식 거행


조선에서 처음으로 ‘조선 소년 척후군’이 생겼다. 소년군(일명 동자군)이라는 것은 원래 서기 1907년 영국 육군 중장 베이든 파월이 창설한 것인데, 목적은 순전히 어린이의 천진하고 활발한 천성을 잘 발달시켜 남자다운 용감한 기개를 기르는 동시에 남을 위해 자기를 희생하는 고상한 인격을 만들고자 함이다.

이러므로 그 운동이 생긴 지 겨우 10여 년 사이에 전 세계에 퍼져 유럽 각국 같은 문명국은 물론 인도, 중국, 일본 등 동양 각국에까지 소년군이 생겼지만 조선에는 아직까지 이 계획이 없었는데 시내 중앙 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는 조철호 씨 외 여러 유지의 발기로 조선에서 처음으로 조선 소년 척후단을 조직해 그저께 오후 4시 반에 발회식을 했는데

먼저 푸른 모자에 노란 빛을 띤 연회색 군복을 입고 분홍빛 의장을 달고 홍백의 척후기를 든 8명이 날래고 씩씩하게 중앙학교 뒤뜰에 모여 가지런히 늘어선 뒤 여러 유지가 열석하고 인도자 조철호 씨가 소년군이 생긴 뒤 사회에 유익함을 끼친 실례를 들어 취지를 설명하고 소년군들이 지금까지 배운 재주를 시험한 후 소년군 가운데 한 명이 공경하는 뜻의 말을 한 뒤 폐회했다.

이에 대해 발기자인 조 씨는 말하기를 “영국에서 처음으로 이 운동이 일어난 뒤 세계 각국에서 받아들여 많은 효과를 얻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회원이 800만 명인데 자유와 의리를 존중하는 점에서 도리어 압제적인 군대 교육보다 낫다는 평판이 있습니다. 더욱이 조선 소년 같이 나약한 소년은 이런 운동을 크게 장려해 용감하고 고상한 기풍을 기를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조선의 장래를 위해 많이 생각해주시는 유지의 찬조를 얻지 않으면 도저히 효과를 거둘 수 없습니다. 처음 일이니 먼저 8명만 중등학교 학생 중에서 뽑아 조직했는데, 장차 8세 이상 20세 이하 소년으로 부모나 기타 감독자의 허락을 얻어 입단하길 원하면 어떤 사람이든 허락할 계획입니다. 이와 같이 조직한 척후단은 매주 한 번씩 모여 산 오르기, 배 젓기, 헤엄치기, 기타 군대생활에서 하는 야영 같은 것을 가르칠 터입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