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6•25때 개봉한 ‘낙동강’ 70년만에 복원 상영

6•25때 개봉한 ‘낙동강’ 70년만에 복원 상영

Posted October. 08, 2022 09:07,   

Updated October. 08, 2022 09:07

日本語

 6일 저녁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가 열리고 있는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에서 영화 ‘낙동강’이 최초로 대중에 공개됐다. 44분 분량으로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제작돼 1952년 당시 부산 등 영남지역 영화관에서 개봉했던 영화다. 전쟁 중에도 예술인들이 창작 활동에 열정을 쏟았음을 보여주는 기념비적인 작품인 것. 한국영상자료원은 최근 자료원 보존고에 있던 영화 원본 필름을 발굴해 복원에 성공했다.

 전창근 감독이 연출한 이 영화는 6·25전쟁 당시 제작된 한국 극영화 14편 중 중 하나로 2013년 ‘태양의 거리’(1952년) 2020년 ‘삼천만의 꽃다발’(1951년)에 이어 세 번째로 발굴됐다. 앞서 발굴된 두 편에 비해 음향과 영상 유실이 거의 없어 기록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영화는 제목이 ‘낙동강’임을 강조하듯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 곳곳을 보여주며 시작한다. 뒤이어 소복을 입은 여성 무용가 조용자 선생이 강변에 나와 춤사위를 선보인다. 이때 흐르는 합창곡은 ‘낙동강’. “보아라 가야 신라 빛나는 역사”로 시작되는 노래로 낙동강의 유구한 역사와 6·25전쟁 당시 낙동강에서 일어난 참상을 함축했다.

 흑백 유성 영화로 전반부는 벌거벗은 채 낙동강에 뛰어들어 노는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모습 등 낙동강 일대 주민들의 평화로운 일상을 보여준다. 주인공 일령(이택균)이 낙동강의 역사를 자랑스럽게 설명하는 모습도 나온다. 그러나 1950년 8월 북한군이 낙동강 모든 전선에서 공세를 시작하면서 낙동강 일대는 쑥대밭이 되고 일령은 조국을 지키겠다며 참전한다. 아내 옥남(최지애)은 떠난 남편을 기다리다 폭격에 아들을 잃는다. 실제 전투 장면을 곳곳에 삽입해 전쟁의 참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 것도 특징이다.

 복원 과정에서 영화음악을 윤이상 선생이 만든 사실이 밝혀져 큰 관심을 모았다. 윤 선생은 이은상 시인의 동명 시에 세 가지 버전의 곡이 붙은 주제곡 ‘낙동강’ 중 영화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노래를 작곡했다. 영화에 깔리는 관현악곡은 1956년 윤 선생이 작곡한 관현악곡 ‘낙동강의 시’의 원형으로 분석된다.


손효주 hjs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