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위대한 대통령이 되는 8가지 방법은?

Posted July. 31, 2009 08:50,   

日本語

대통령을 평가하는 단일 기준이란 없다. 미국의 저명한 역사학자이면서 역대 대통령에 정통한 학자로 꼽히는 리처드 노턴 스미스 교수(조지 메이슨대)는 13회 와튼 경영대학원 리더십 연례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대통령에 대한 후대의 평가를 프라이팬에서 튀는 팝콘에 비유하면서 더욱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8가지 잣대를 제시했다. 흔히 생각하는 대통령직 수행에 대한 역설적 통찰력이 엿보인다. 미국 포브스 인터넷판이 소개한 내용을 요약한다.

무위의 리더십이 더 어렵다=1803년 프랑스로부터 루이지애나를 사들인 토머스 제퍼슨, 1964년 민권법을 통과시킨 린든 존슨, 625전쟁 참전을 결정한 해리 투르먼, 죽의 장막 중국과 공식 대화를 시작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 등은 당대에는 모험이라고 생각될 (무모한) 일을 했지만 역사는 그들에게 후한 평가를 내렸다. 하지만, 때로는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역사적 순간에 소련의 체면을 생각해 그 자리에 가지 않은 조지 부시처럼 무위()가 가장 힘든 리더십일 수도 있다.

대통령의 힘은 국민을 감화시키는 권위에서 나온다=대공황 속에서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노변담화()라 불린 라디오 연설로 국민에게 수시로 위기 극복 의지를 차분히 설득해 감정적 신뢰를 쌓았다. 로널드 레이건은 1981년 저격당한 뒤 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뒤 부인에게 여보, 허리 숙이는 걸 깜박 했어 같은 농담하는 여유를 보여 당황한 민심을 안심시키는 데 성공했다.

위대한 대통령에게는 위대한 적()이 있었다=루스벨트에게는 이탈리아의 무솔리니와 독일의 히틀러가 있었고 레이건에게는 소련이 있었다. 이들이 적과 싸우는 모습은 국민에게 자유를 수호하는 자랑스러운 전사로 비쳤다.

신비하게 보일 줄 알아야 한다=레이건 국가안보고문이었던 로버트 맥팔레인은 (레이건은) 아는 건 너무 적었지만, 이룬 건 매우 컸다고 평했다. 다시 말하면 레이건은 대중에게 본질적으로 신비한 인물로 비쳐야 한다는 덕목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인기가 업적은 아니다=인기가 높았던 하딩은 죽은 후 알려지기 시작한 각종 스캔들로 가장 형편없는 대통령이 되었다. 악평은 점차 늘어갔고 새롭게 폭로되는 사실은 그가 대통령이 되는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대통령으로서의 자질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그러나 하딩은 전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전후 안정에 기여했다.

대통령을 현재의 잣대로만 평가하지 말라=땅을 가진 일부 백인에게만 허용됐던 참정권을 전 백인에게 확대한 앤드루 잭슨에 대해 현대학자들은 여성과 흑인을 소홀히 했다고 저평가한다. 그러나 대통령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그 당시 사람들의 생각과 판단 기준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의도하지 못한 결과는 어쩔 수 없다=우드로 윌슨은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신()자유주의를 주창했지만 제1차 세계대전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사건 때문에 그의 이상은 실패한 것이 됐다.

약한 대통령도 업적은 있다=역사는 일반적으로 강한 대통령에게 후한 평가를 내린다. 그러나 우유부단한 대통령이란 평을 듣는 캘빈 쿨리지 같은 사람도 납세자를 보호하고, 정부 확대를 지양했다는 점은 재평가해야 한다.



민동용 mind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