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송모 씨(34여)는 출퇴근길 만나는 택시나 버스의 난폭 운전 때문에 식은땀을 흘렸던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송 씨는 깜빡이(방향지시등)도 켜지 않고 무조건 끼어드는 택시 때문에 운전하는 게 스트레스라고 하소연했다. 시민의 발인 대중교통. 하지만 일부 운전사의 난폭 운전과 불친절한 서비스 때문에 고통을 겪는 시민도 많다. 서울시내 대중교통 운행의 주역들이 동아일보의 연중기획 시동 꺼! 반칙운전 캠페인에 호응해 한자리에 모여 안전운행 및 서비스 향상을 다짐하는 협약을 맺었다.
4일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회의실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과 유한철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공기복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김명수 서울시택시운송사업조합이사장, 유승우 서울시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전무, 류근중 서울시 버스노조 위원장, 김용한 서울경기지역 마을버스노조 위원장, 강신표 전국택시노조 서울본부장, 정지구 민주택시노조 서울본부장이 참석했다.
택시업계 노사는 협약을 통해 꼬리물기끼어들기 신호정지선 위반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및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시청 등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버스업계 역시 신호 위반급출발급정거 등 난폭 운전 운행 중 휴대전화 사용 등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시는 이달 말까지 버스 전 차종에 차량 속도를 시속 80km로 제한하는 장치를 설치하기로 했다. 운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안전 및 친절 교육도 실시하기로 했다. 택시업계 재정지원 시에는 승차 거부 및 부당요금 신고 건수, 준법운행 여부 등을 평가해 반영하기로 했다.
서울시 윤 본부장은 동아일보가 시동 꺼! 반칙운전 기획 시리즈를 통해 지적한 것처럼 안전한 교통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대중교통의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안전하고 친절한 운행과 서비스로 대중교통이 반칙운전의 주범이라는 오명을 씻어 내자라고 당부했다.
박진우 pjw@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