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실상 이라크 여행을 금지하기로 한 것은 늦은 감이 있기는 하지만 옳은 선택이다. 이라크 저항세력에 억류됐던 목사 등 7명이 풀려나기는 했으나 사업 등을 이유로 용감한 한국인들이 이라크를 방문할 가능성이 여전하기 때문에 한시적으로라도 국민의 위험지역 출입을 제한해야 한다.
이라크에 체류 중인 150여명의 민간인도 정부의 권고를 받아들여 가능한 한 귀국하거나 인접국으로 대피하기 바란다. 사흘 간격으로 발생한 두 차례 억류사건이 무사히 해결됐다고 안도할 것이 아니다. 지난해 11월 한국인 2명이 피살된 사례를 떠올리며 몸조심을 해야 한다.
이라크 저항세력은 자위대를 철수시키기 위한 협박수단으로 일본인 3명을 납치해 억류하고 있다. 민간인이 테러범의 공격목표가 되면 개인이 불행을 당하는 것은 물론 자칫하면 정부까지 수렁에 빠지게 된다. 서희제마 부대 파견에 이어 추가파병을 약속한 우리가 그런 범죄의 대상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낙관할 수는 없다. 목사들을 억류했던 이라크인들이 미국 영국 일본에는 적개심을 보였지만 한국에 대해서는 우호적이었다고 해서 긴장을 늦출 상황도 아니다.
납치범들은 외국인의 신분과 체류 목적을 고려하지 않는다. 일본인 3명은 자위대 파병에 반대하는 등 이라크에 우호적인 성향인데도 범행의 표적이 됐다. 18세 소년을 포함한 인질을 칼로 위협하며 자위대를 철수시키지 않으면 죽이겠다고 경고한 납치범들이 최악의 경우 극단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도 있다.
전시()라 해도 민간인 납치는 용서받을 수 없는 비열한 범죄이지만 이라크 저항세력의 이성적 행동을 기대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가장 확실한 안전대책은 당분간 이라크에 가지 않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