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절대무기에 대한 환상

Posted April. 26, 2022 09:12,   

Updated April. 26, 2022 09:12

日本語

 1915년 4월 22일 이스프리 전투에서 독일군이 영국, 프랑스군을 향해 독가스를 살포했다. 독가스 사용은 이미 국제협약으로 금지되어 있었지만 전쟁이 치열해지자 독일군이 유혹을 이기지 못했다. 화가 난 연합군도 독가스 사용 금지를 풀었다. 이로부터 1차 세계대전은 유례없는 화학무기의 실험장이 됐다.

 독일군이 금단의 무기에 유혹된 이유는 무슨 수를 쓰든 전쟁을 빨리 끝낼 수 있다면 그것이 모든 나라와 사람에게 유익하다는 논리였다. 이건 별로 창의적인 논리도 아니다. 기관총부터 핵무기까지 가공할 살인무기가 등장할 때 늘 이마에 붙이고 있던 명분이었다.

 그러면 독가스는 게임체인저가 됐을까? 아니다. 처음 독가스를 분사했을 때 독일군은 수천 명의 연합군을 단숨에 살상하고 패퇴시키는 성과를 얻었다. 그러나 이런 살상극을 벌이고도 독일군이 진격한 거리는 10km가 되지 못했다.

 연합군은 금세 해결책을 찾았고, 방독면을 제작해 보급했다. 초기 방독면은 지금 기준에서 보면 엉성했지만, 의외로 효과적이었다. 독가스도 초보적인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독가스는 양측 병사들을 지독히 괴롭혔다. 수많은 병사들에게 평생의 장애와 후유증을 남겼다. 그 뿐이었다. 전쟁을 더 참혹하게 만들었을 뿐, 전쟁의 승패와는 무관했다.

 조금만 생각해 보면 독가스가 게임체인저가 될 수 없는 이유는 쉽게 알 수 있다. 우선 독일이나 연합군의 과학기술, 산업력은 엇비슷하다. 한쪽 제품이 더 우월할 수는 있지만 일방적인 우위는 아니다. 열쇠와 자물쇠처럼 공격용 무기를 만들 기술이 있다면 방독면처럼 방어용 장비도 만들 수 있다. 비행기가 무기로 사용되기 시작했을 때, 하늘에서 지상군을 내려다보면서 공격할 수 있다는 사실에 어떤 이들은 환상을 품었다. 제우스의 번개 같은 절대병기가 등장했다는 것. 아니었다. 대공포와 대공미사일이 그 꿈을 꺾었다. 더 치명적인 대항마는 상대의 항공기였다.

 왜 인간은 절대무기에 대한 환각을 버리지 못할까? 경영에서 정치에서 인생에서도 그렇다. 이것만 되면 만사 오케이라는 한 방의 유혹에 집착하면 얻는 것은 카운터펀치뿐이다.역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