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절전대책 통했다

Posted December. 26, 2011 07:26,   

日本語

정부가 15일부터 기업과 일반건물을 대상으로 절전 대책을 시행하면서 전기 사용량이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산업체의 피크 시간대(오전 10시낮 12시, 오후 57시) 전력사용 전년 대비 10% 감축 등 강제 규제들이 효과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

동아일보가 15일부터 24일까지 열흘간 한국전력거래소의 전력수급실적을 분석한 결과 하루 중 전력을 가장 많이 쓰는 피크 시간대의 평균 예비전력률(전체 공급량실제 사용량/전체 공급량)은 14.1%로 지난해 같은 기간(10.9%)에 비해 3.2%포인트 늘었다. 이 기간 전체 설비용량이 지난해보다 326만 kW가량 증가했지만 13일과 14일에 울진과 고리의 원자력발전소(둘 다 95만 kW급)가 가동을 중단해 전력 수급에 영향을 미친 점을 감안하면 절전 대책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또 15일부터 24일까지 열흘간 서울 평균기온이 지난해 영하 1.7도에서 올해 영하 7.0도로 떨어질 정도로 훨씬 추웠음에도 예비전력률이 높았다.

같은 기간에 최대 전력사용량(하루 중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한 1시간대 평균)의 증가율도 감소했다. 1524일 지난해 대비 최대 전력사용량은 평균 2.2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는 전년에 비해 6.64% 늘었다. 전력거래소 측은 하루 중 전력사용량이 가장 많은 시간대가 기존의 오전 1011시와 오후 56시에서 각각 오전 910시, 오후 45시로 바뀌면서 전력 사용이 분산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절전 규제대책으로 150만200만 kW가량의 전력을 확보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50만 kW급의 화력발전소 3, 4기 정도를 더 지은 것과 같은 효과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절전 규제가 없었다면 기온이 낮았던 15, 16일과 19, 20일에는 예비전력이 위험 수준인 500만 kW 미만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예비전력은 652만719만 kW를 유지했다.

정부의 대책으로 전력수급이 안정을 찾고 있지만 늘어난 전기요금으로 인해 어려움을 호소하는 중소기업도 적지 않다. 전기요금은 8월 초와 12월 초에 각각 평균 4.9%와 4.5% 인상됐다. 국내 자동차 기업에 부품을 납품하는 중소기업의 한 대표는 평소 5500만 원 수준이던 전기요금이 내년 초에는 1억2000만 원까지 오를 것으로 보여 어려움이 크다고 호소했다.

한편 장기 전력 공급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가운데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이날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최근 논란이 되는 원전 터 후보(강원 삼척, 경북 영덕) 선정과 관련해 원전 확대를 통해 전력공급을 늘리겠다는 정책 기조는 바뀐 것이 없다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제기된 원전 건설 과정의 안전 문제는 계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세진 mint4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