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정상 10m 앞두고 울컥깵 안나푸르나의 눈물이 가장 진했다(일)

정상 10m 앞두고 울컥깵 안나푸르나의 눈물이 가장 진했다(일)

Posted May. 03, 2010 05:39,   

日本語

14좌 완등 목표를 이루고 나면 허탈감이 밀려올 것 같다고 했는데.

허탈감을 느낄 여유가 없다. 사망한 톨로라는 스페인 산악대원 생각뿐이다. 그 사람이 조금만 더 일찍 발길을 돌렸더라면. 당시 도와주지 못해 미안한 마음도 있고 안타까운 마음도 컸다. 톨로가 조난 중에 위성전화로 부인과 통화를 했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런 얘기를 들으면서 삶과 죽음이 뭔지, 정상이 뭔지, 왜 사람들이 7000, 8000m에 있으면 올라가는 데만 집착하는지, 나는 그런 모습이 없었는지 생각해 보게 됐다. 히말라야에는 정말 생과 사가 한길에 있는 것 같다.

우는 모습을 많이 봤다. 원래 눈물이 많나.

평상시 울 일은 별로 없는데 눈물이 없는 사람은 아니다. 등반할 때 얘기를 하다 보면 그 순간에 몰입하게 돼 힘든 순간이 생각나면서 눈물이 나오는 것 같다. 눈물을 조절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정말 멋지겠지만 난 그렇지 않다. 내가 울면 힘들었던 상황에 동감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쟤 또 울어라는 사람도 있다.

가장 많이 운 게 언제인가.

1995년이나 1996년인 것 같다. 당시 사귀던 연하의 남자 친구가 바람피우는 모습을 봤다. 내가 만나자고 했는데 자꾸 피하기에 느낌이 이상해서 찾아갔다. 그런데 다른 여자랑 손잡고 나오는 걸 정면으로 맞닥뜨렸다. 정말 펑펑 울었다. 처음으로 이성의 느낌을 가졌던 사람이었고 첫 연애였다. 그때는 남자 친구를 나의 분신처럼 여겼기에 눈물이 많이 났던 것 같다.

기쁨의 눈물을 가장 많이 흘린 때는.

이번 안나푸르나 정상에 섰을 때다. 정상을 10m 정도 남겨뒀을 때 속에서 불덩이가 올라왔다. 태극기를 꽂기 바로 직전 눈물이 쏟아졌다. 7대륙 최고봉을 마칠 때도(2006년 12월 오세아니아 주 최고봉 카르스텐스4884m) 눈물이 났는데 이번이 눈물의 농도가 더 진했던 것 같다.

산에 오르면서 가장 힘들었을 때는.

힘겨움의 강도라는 것은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아무리 힘들었던 순간도 지나가면 잊혀진다. 힘든 것은 잘 잊어버리는 성격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산에 오를 때뿐만 아니라 살면서 죽고 싶을 정도의 시련은 없었다. 내가 생각하기에도 의지는 강한 것 같다.

스스로 한계를 느낄 때가 있는지.

고산 등반 시 루트 작업을 할 때, 어려운 구간에서 셰르파들이 앞장서 가는 모습을 보면 부럽기도 하고, 내가 저렇게 해야 되지 않나 싶기도 하다. 어떤 사람들은 오은선은 셰르파에게 지나치게 의존한다고 하지만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한계 내에서 솔직한 등반을 한다고 생각한다. 그건 셰르파들도 인정하는 부분이고 국제적으로 내가 인정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스페인의 에두르네 파사반이 안나푸르나 등정을 마치고 내려가 오은선의 칸첸중가 등정 의혹을 제기했다. 배신감을 느끼지는 않나.

배신감이라고 할 것까지는 없다. 안나푸르나 정상에서 내려와(4월 29일) 파사반 얘기를 처음 들었을 때는 황당했다. 그럴 수도 있는 친구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2006년 10월 시샤팡마(8027m)에서 처음 만난 이후 파사반에 대해 부정적인 느낌을 받은 적은 없다. 사실 이번에 베이스캠프에서도 경쟁 때문에 껄끄러울 수 있는 상황인데도 너무나 유쾌하고 다정하게 대해줬다. 순수한 열정을 갖고 있는 친구라고 생각했는데. 사람은 정말 모르겠다.

안나푸르나 정상에서 가장 먼저 생각난 엄마, 아빠는 어떤 분인가.

산에서 힘들 때면 부모님 생각이 많이 난다. 특히 엄마와는 산에 다니는 걸로 갈등도 있었기 때문에 더 많이 생각난다. 부모님은 주말이면 늘 둘이서 놀러 다니셨다. 등산, 골프 등도 늘 함께 하신다. 나도 결혼하면 저렇게 살 것이라고 생각했다.

새로운 가족(남편)을 맞을 계획은. 산과 같은 사람 말고 구체적 이상형은.

사람이 없는데 어떻게 계획을 잡나. 지금껏 결혼을 하지 말아야지 하고 생각한 적은 없다. 30대 초반에는 결혼에 대한 의지가 강했는데. 나도 웨딩드레스 입는 상상을 당연히 한다. 이상형은 자기 일에 신념을 갖고 몰입하는 사람이다. 자상한 성격에 외모는 강동원처럼 샤프한 스타일. 나이는 나보다 많았으면 좋겠다. 7, 8년 전까지 연애를 했는데 주로 연하를 만났다. 어린 친구들이 나에게 보호받고 싶은 느낌을 많이 가졌던 것 같다. 40대 넘어서는 누구를 만날 기회가 없었다. 다들 이제 좋은 사람 만나야지라는 인사는 하지만 정작 소개시켜 주는 사람은 없다.

오은선은 항상 열려 있다고 광고를 해드릴까.

그래 달라.

국민에게 왜 감사한가.

내가 산에 가며 먹고살 수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우리나라 국민이 산을 많이 가기 때문이다. 등산 관련 산업이 많이 성장해서 산악인들을 후원하는 기업이 많이 생겼다. 나는 주앙 가르시아(4월 안나푸르나 정상에 서며 19번째 14좌 완등자가 됨포르투갈)보다 등반 실력이 뛰어나지 않지만 더 나은 대접을 받고 있다. 산을 좋아하는 국민의 성원이 없었다면 여기까지 못 왔다. 그래서 국민에게 매우 감사하다.

오은선에게 대한민국이란.

엄마의 품. 나는 한국인이라는 것에 강한 자부심을 갖고 있다. 군인 출신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이번에 천안함 장병들 소식을 들으면서 내 가족 일 같아 내가 바닷속에서 질식하는 느낌이었다.

대한민국 스타로서 삶의 변화가 있을까.

사생활이 많이 없어질 것 같다. 많이 알아보고 인정해주면 좋을 것 같긴 하다. 하지만 내가 사람을 보는 게 달라질까 두렵다. 나도 모르게 내 위상에 맞는 사람이어야지라는 생각을 할까봐 겁나기도 하고. 정말 내 짝을 만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복잡하다.

새로운 오은선의 모습은.

나로 인해 국민이 희망을 갖고 긍정적 힘을 얻었다면 그분들에게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줄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싶다. 히말라야를 품고 있는 네팔, 파키스탄의 어려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활동도 계획 중이다. 향후 활동은 꼭 산에 국한시키지 않고 넓게 보려고 한다.

오은선은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갖는 가장 큰 오해가 무엇인지를 묻자 오은선은 강하다라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나는 강하지는 않다. 단지 좋아하는 일에 대해선 누구보다 열정적인 사람이다라고 말했다.



한우신 hanwsh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