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광복회 책임질수없다 유감

Posted March. 01, 2002 10:41,   

日本語

여야 국회의원 29명이 참여하고 있는 민족정기를 세우는 모임(회장 김희선)은 28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반민족행위자 708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이 모임이 발표한 친일명단엔 한일병합에 적극 협력한 이완용() 등 을사5적과 정미7적을 비롯해 일제 치하의 중추원 참여자, 작위를 받은 자, 도지사, 친일단체 관련자, 판사, 고등계형사 등이 포함돼 있다.

이날 발표된 명단은 광복회에서 명단을 확정해 제출한 692명과 광복회에서 논란이 돼 집중심의대상으로 이 모임에 넘긴 17명 가운데 1명을 제외한 16명을 추가한 것으로, 이들을 명단에 포함시키는 문제로 인해 모임 내부에서도 논란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윤경빈() 광복회장은 이와 관련해 광복회가 명단을 제출한 692명 이외에 국회에서 추가한 16명에 대해서는 책임질 수 없다고 밝혔다.

심의위원장을 맡은 서상섭() 의원은 16명에 대해선 독립에 기여한 것이 부분적으로 인정되고 독립 후 다른 형식으로 국가발전에 공헌한 점이 있으니 상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말했다.

또 광복회의 친일인사 선정과정에 참여했던 신용하() 서울대 교수는 17명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어 제외했었다며 국회의원들이 어떤 기준에 따라 명단에 포함시켰는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모임이 31절에 맞춰 명단을 발표하려고 서두르다 보니 제대로 심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모임측은 48년 반민족행위처벌법의 기준에 따라 명단을 선정했다고 밝혔으나 당시 반민특위에서 제외된 인사도 포함돼 있다.

모임측도 (31절) 날짜가 촉박하다 보니 부실한 측면이 있는 것을 인정한다며 이번엔 1차 발표이므로 정식으로 일제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을 위한 법률을 제정해 특위가 구성되면 추가로 논의될 것이라고 해명했다.

논란의 초점이 되고 있는 집중심의대상자 16명 중엔 여성계의 김활란() 모윤숙(), 문화예술계의 김은호() 현제명() 홍난파(), 언론계의 김성수() 방응모() 등 해방 후 각 분야에서 적극 활동했던 인사들이 포함돼 있어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윤종구 jkma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