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금리-환율-유가’ 3高 덮친 한국경제

Posted October. 05, 2023 09:04,   

Updated October. 05, 2023 09:04

日本語

고금리 장기화 우려로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4.8%를 넘으며 16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에 4일 원화 가치와 주가가 일제히 급락하는 등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최근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 국제유가와 맞물려 고금리, 고환율, 고유가의 3고(高)가 한국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일(현지 시간) 세계 채권 금리의 기준점 역할을 하는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날보다 0.12%포인트 급등한 4.81%로 2007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3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도 4.95%까지 오르며 5%대에 육박했다. 고금리 우려가 확산되면서 ‘공포 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날보다 2.17포인트(12.32%) 오른 19.78로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VIX는 장중 한때 ‘심리적 방어선’으로 통하는 20을 넘어섰다.

긴 추석 연휴를 마치고 4일 열린 국내 금융시장은 미국발 고금리 공포 충격을 한꺼번에 흡수하며 크게 출렁였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4.2원 급등(원화 가치는 급락)한 1363.5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27일(1356원) 이후 재차 연고점을 경신했다. 코스피는 59.38포인트(2.41%) 급락한 2,405.69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가 2,410 선을 내준 건 올 3월 27일 이후 6개월여 만이다. 코스닥 지수도 33.62포인트(4.00%) 급락했다.

고금리 장기화 공포로 강(强)달러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엔-달러 환율은 장중 한때 심리적 저항선인 달러당 150엔을 돌파했다. 엔저는 일본과 수출 경합 품목에서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려 우리나라 수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전문가들은 3고에 따른 기업 실적 악화와 소비 위축이 경제 성장률을 끌어내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최근 JP모건 등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이 올해에 이어 1%대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고금리는 기업들의 금융 비용을 높여 실적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イ・ドンフン記者 ニューヨーク=キム・ヒョンス特派員 dh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