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 파워 트위터리안

Posted October. 29, 2011 05:54,   

日本語

TGIF. Thanks, God. Its Friday.(하느님 감사합니다. 금요일입니다)의 머리글자를 딴 패밀리 레스토랑의 이름이 아니다. 트위터(twitter) 구글(google) 아이폰(i-phone) 페이스북(facebook)의 첫 글자를 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일컫는 신조어()다. 저술가 맬컴 글래드웰은 튀니지 이집트 등 북아프리카 민주화과정에서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의 역할이 과장돼 있다고 비판했지만 이번 서울시장 선거를 보더라도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

트위터 분석서비스 트윗믹스에서 이달 1025일 나경원,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에 대한 트위터 언급 횟수를 분석한 결과 각각 53만여 건, 45만여 건이었다. 추세로 보면 트위터보다 페이스북의 성장이 빠른데, 선거를 맞아 이슈 전파력과 메시지 유통이 빠른 트위터가 부상한 것이다. 427 재보선에서 주요 후보 관련 트윗이 9만5700개(중복 포함)였던 데 비해 1026 재보선에서는 98만5000개였다. 6개월 사이 트윗양이 10배 급증했으니 이번 선거가 트위터 선거였다고 할 만하다.

이런 물결의 중심에 팔로어(follower)에게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파워 트위터리안(twitterian트위터 사용자)이 있다. 소설가 이외수 공지영, 서울대 법대 조국 교수, 평론가 진중권, 방송인 김제동 씨 등이다. 이들의 적극적 활동으로 2040세대가 투표장으로 몰려나가 박원순 시장 당선에 기여했다. 네트워크 이론에 따르면 모르는 사람들의 연결망은 그 자체로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회적 자본이다. 피라미드형 위계사회에서는 권력자가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지만 수평형 네트워크 사회에서는 메시지를 공유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권력 변화를 가져온다.

파워 트위터리안의 존재는 네트워크도 불평등하다는 명제를 확인시켜준다. 소수의 메시지 생산자가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현상이다. 사람들은 SNS상에서 정확한 정보를 원하는 게 아니다. 사람들이 SNS의 누군가를 따라 물건을 사고 영화를 보고 투표를 하는 것은 그 사람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수단이 아니라 관계다. 기성 정치권이 이런 본질을 놓치고서 SNS를 활용하겠다는 말을 만날 해봐야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

정 성 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