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사설] 테크 권력 애플은 개인위치정보 왜 무단 수집하나

[사설] 테크 권력 애플은 개인위치정보 왜 무단 수집하나

Posted April. 23, 2011 07:56,   

日本語

미국의 애플이 아이폰아이패드 사용자의 개인위치정보를 수시로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했음이 드러났다. 위치정보 묶음은 암호화되지 않은 채 단말기의 파일에 남아 있었고 사용자가 지우기도 쉽지 않았다. 개인 사생활정보의 노출은 물론이고 이들 정보가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도 있다.

애플은 2008년 1월 내 폰 찾기 친구 찾기 등 위치정보에 기반을 둔 서비스 개시와 함께 개인위치정보 수집을 시작했다. 지난해 6월 21일에야 고객 사생활보호정책을 개정하면서 애플과 협력사는 애플 제품의 실시간 지리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수집 활용 공유할 수 있다는 내용을 추가했다. 애플은 이렇게 수집된 위치정보가 아이폰 파일에 남아 있다는 사실을 어디에도 밝히지 않았다. 축적된 정보의 보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최소한의 배려도 하지 않았다.

애플은 작년 미 하원의원이 사생활 침해 가능성을 제기하자 위치정보 서비스 수집 및 사용에 관해 사용자의 동의를 받고 있으며 위치정보 서비스를 쉽게 끌 수 있게 해놓았다고 답변했다. 국내외 사용자들이 어느 순간엔가 위치정보 제공에 동의했을 것이므로 정보수집이 불법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세계 톱 수준의 사업자라면 사용자가 주의할 대목을 더 투명하게 알려줘야 하고 정보의 무단 수집은 자제해야 한다. 자칫하면 사용자가 거대한 테크(Tech기술)권력의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

구글의 안드로이드폰도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한 시간에 수차례 구글의 DB로 전송했다고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정보기술(IT) 공룡들이 개인정보 수집 경쟁을 벌이는 것은 새로운 위치기반 서비스를 만드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위치기반 서비스 시장은 2014년 83억 달러(약 9조 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감독 당국들은 IT 공룡들이 새 서비스 준비를 구실로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않도록 면밀히 감독해야 한다.

웹사이트 방문 기록이나 스마트폰 사용자의 이동경로 궤적 같은 정보를 IT 사업자들이 마구 긁어모은다면 개인정보의 침해 소지가 크다. 사업자들이 신분 노출이 안 되며 해킹 위험도 없다고 주장해도 사용자로서는 사생활 침해의 작은 가능성도 남겨두고 싶지 않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새 인터넷 운영체제가 흔적 추적 금지 장치를 단 것처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무단 위치 추적을 금지해야 한다. 사용자들도 정보보호에 신경을 더 써야만 자신의 프라이버시 권리를 지켜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