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과학 영웅들에게 박수 보낸다

Posted March. 06, 2008 03:05,   

日本語

한국 기초과학계가 잇달아 낭보를 전하고 있다. 서울대 강현배 수리과학부 교수가 미국 유타대 그램 밀턴 석좌교수와 함께 57년 묵은 수학의 난제()인 폴야-세고 예측과 에슐비 예측을 증명했다. 연세대 화학과 김동호 교수팀은 일본 교토대 아쓰히로 오스카 교수팀과 공동으로 44년간 수수께끼였던 뫼비우스 띠 모양 분자합성에 성공했다. 미 국립보건원(NIH)에서 연구 중인 한국인 과학자들은 알코올성 지방간의 원인을 밝혀내는 개가를 올렸다.

세계 수준에 한참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 과학계의 쾌거들이다. 연구 여건이 다른 학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척박한 수학 화학 같은 기초학문 분야에서 이뤄낸 성취이기에 더욱 값지다. 이런 성과는 우연 또는 거저 얻어진 것이 아니다. 국가석학 사업 등 제도적 지원도 있었지만 밤늦도록 연구실의 불을 밝힌 결과다. 강 교수는 TV를 볼 때조차도 문제만 생각했다고 말했다. 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 200편 발표에 피인용 건수가 3500여 건에 이르는 김 교수는 노벨상에 가장 근접한 학자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국가석학이다.

잇따른 낭보는 교수 재임용 및 테뉴어(정년 보장) 심사 강화로 비상이 걸린 한국 대학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대학경쟁력은 번듯한 건물이 아니라 교수진의 역량에서 나온다. 세계 유수 대학들은 교수 역량 및 업적 평가에 사활을 걸고 있고, 많은 교수는 최고 수준의 업적을 내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다. 이런 학자들이 늘어나야 우리 대학도 살고 나라 경제도 발전한다.

정부는 대학 연구년() 운영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국에서 교수들의 연구년은 안식년으로 불렸다. 많은 교수는 연구년이 되면 외국에 나갔지만 새로운 학문을 접하려는 노력보다는 골프와 자녀 영어공부에 더 관심을 기울인 경우가 적지 않았다. 외국 교수는 연구년에 저서를 펴내는데, 한국 교수는 싱글 골퍼가 돼서 돌아온다는 우스갯소리까지 있다.

외국 학자와의 공동연구가 용이한 과학자들이 먼저 학문과 대학경쟁력 강화를 선도해야 한다. 정부도 기초과학의 저변을 넓히는 연구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