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위조논란 이우환 그림 13점 모두 ‘가짜’

Posted June. 03, 2016 07:43,   

Updated June. 03, 2016 07:53

日本語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원로 화가 이우환 화백(80)의 작품으로 위조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그림 13점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정에서 가짜로 판명됐다. 미술계는 “불확실성이 사라졌다”며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다.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경찰의 의뢰를 받은 국과수가 올해 1∼5월 위작(僞作) 의혹이 있는 그림 13점을 이 화백의 진품 6점과 비교 분석한 결과 물감 성분과 제작기법이 진품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경찰은 지난해 12월 K옥션 경매에서 약 5억 원에 낙찰됐던 그림 1점과 개인 소장 4점, 유통 및 판매책으로부터 압수한 8점 등 총 13점의 위작 여부를 가리기 위해 국과수에 감정을 의뢰했다. 국과수는 법화학 기법과 디지털 분석기법을 통해 감정한 결과 의혹이 제기된 그림에 쓰인 물감의 납 성분은 진품의 절반 이하였고, 일부 성분은 아예 들어 있지 않다는 사실을 들어 위작이라고 결론 냈다. 붓질의 방향 등 제작기법과 서명도 진품과 달랐다.

 국과수에 앞서 감정을 진행했던 국제미술과학연구소, 한국미술품감평원, 민간감정위원회도 일부러 오래된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덧칠한 흔적이 있는 점 등을 근거로 의혹을 받고 있는 그림 13점이 위작이라고 판단했다.

 경찰은 지난달 위조 총책 현모 씨(61)를 사(私)서명 위조 혐의로 구속하고, 현 씨의 지시를 받아 위작을 만든 A 씨(40)를 조사하고 있다. 경찰은 이들로부터 “2012년 그린 위작 50여 점을 유통책에 전달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경찰은 또 이우환 화백에게 위작 감정을 의뢰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과수의 감정 결과를 두고 미술계 인사들은 대부분 반기는 분위기다. 위작 판정된 그림의 공통점을 정리하면 앞으로 이 화백의 그림을 감정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최윤석 서울옥션 상무는 “미술품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특정 작가 또는 작품에 대한 ‘불확실성’이다. 위작 결론이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찬규 학고재 회장은 “최대한 빨리 수사 결론이 나오길 기다렸다. 근거 없는 소문이 떠돌면서 이 화백의 모든 그림이 의심을 받았다. (경찰이) 이 화백에게도 그림을 보여주고 의견을 받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호경 whalefisher@donga.com·손택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