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사설] 민주주의 조롱한 통진당, 그 우두머리 이석기

[사설] 민주주의 조롱한 통진당, 그 우두머리 이석기

Posted June. 28, 2012 07:12,   

日本語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경선 부정 여부를 재조사한 2차 진상조사특위가 선거 관리에서부터 현장 투표, 온라인 투표까지 부정을 방조한 부실 선거였다고 발표했다. 1차 진상조사특위가 밝힌 총체적 부정부실 선거를 재확인한 것이다. 그런데도 이석기 김재연 의원이 속한 당권파 측은 2차 조사도 부실이며 무효라고 주장하면서 승복을 거부하고 있다. 뻔뻔하게 민주주의를 조롱하는 처사다.

2차 진상조사 내용에 따르면 전체 투표의 85%를 차지하는 인터넷 온라인투표에서 구당권파가 1484차례 당원들의 투표 여부를 확인했다. 특정 당직자의 컴퓨터 IP(인터넷주소)에서 1151차례 미()투표자 현황을 열람했다. 대리투표 가능성을 보여주는 증거다. 당권파 쪽 당직자들이 미투표 명단을 공유해 이석기 후보를 조직적으로 지원했다는 당 관계자의 증언도 나왔다. 현장 투표에서도 이중투표와 대리투표 같은 부정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전체 현장 투표수의 32.4%가 무효에 해당한다는 얘기다.

통진당 비례대표 경선은 비례대표 후보들의 순위를 정하는 선거였다. 순위에 따라 국회의원 당선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부정 투표로 순위가 조작됐다면 공직선거 부정이나 마찬가지다. 이석기 김재연 의원의 당선이 정당성을 갖지 못하는 이유다. 통진당은 내부적으로 두 사람을 포함해 경선에 참여했던 모든 비례대표 후보들의 사퇴를 결정했다. 그러나 두 의원이 사퇴를 거부해 현재 당명 준수 의무 위반을 이유로 제명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석기 김재연 의원은 2차 조사 결과에 따라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의원은 2차 진상조사 결과가 나오자 매우 사실적 근거가 취약한 만큼 사퇴 시기를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둔사를 했다. 김 의원도 비슷한 태도다. 사실상 의원직 사퇴를 거부한 것이다. 두 사람은 종북주의 논란에도 깊이 연루돼 있지만 부정선거만으로도 국회의원 배지를 달 자격이 없다는 것이 명백히 드러났다.

당권파는 선거부정에 폭력사태까지 유발하고도 반성은커녕 잘못을 인정하지조차 않고 있다. 한 의사당 안에서 함께 민주주의를 논할 수 없는 집단이다. 통진당이 다시 당권파의 손아귀에서 놀아난다면 미래가 없다. 제1 야당인 민주통합당이 이런 집단을 야권연대 파트너로 삼는다면 공멸의 길을 걸을 것이다. 이석기 김재연 의원은 당권파의 상징적 존재다. 이들이 끝내 자진 사퇴를 거부한다면 국회 차원의 의원직 제명이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