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조 나눠 미의원실 일일이 찾아 밀착설득

Posted July. 29, 2011 07:14,   

日本語

27일 오전 미국 워싱턴 시내 연방하원 캐넌 빌딩 앞에는 푸른색이 물결쳤다. 한미 FTA 즉각 비준(Approve it now KORUS FTA)이라는 글귀가 새겨진 파란 티셔츠, 가방, 배지 등을 착용한 한인 100여 명이 빌딩 앞에 집결했다. 한인들은 뉴욕유권자센터, 뉴욕한인회, 뉴욕한인직능단체협의회 주최로 뉴욕에서 대형 버스 2대를 대절해 이곳에 모였다. 로스앤젤레스, 보스턴, 댈러스, 애틀랜타 등에서 수시간씩 직접 차를 몰고 합류한 한인도 많았다.

정부부채 한도 증액 협상으로 미 의회의 8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재미 한인들이 워싱턴 의회를 직접 찾아 조기 비준을 촉구하는 캠페인에 나선 것이다. 빌딩 앞을 지나던 의회 관계자들은 한미 FTA 의회 비준 촉구 풀뿌리 로비의 날(Grassroots Lobby Day for the KORUS FTA)이라는 대형 플래카드를 내건 이날 행사를 관심 있게 지켜봤다.

한미 FTA 비준 풀뿌리 연합 이종식 공동대표는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는 FTA 비준을 더 이상 늦춰서는 안 된다는 성명서를 낭독했다.

하원 공화당의 코리아 코커스를 이끄는 댄 버턴 의원(인디애나)과 민주당의 중진 에니 팔레오마바에가 의원(사모아)은 직접 현장에 나와 한인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질문에 답했다. 버턴 의원은 정부부채 협상 때문에 한미 FTA가 뒤로 밀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존 베이너 하원 의장에게 FTA가 신속히 타결될 수 있도록 촉구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한인들은 본격적인 행동을 개시했다. 이들은 1개 조에 35명씩 15개 조로 나눠 캐넌, 레이번, 덕슨 의회 빌딩을 누비며 상하원 의원실을 방문했다. 설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구 의원실을 방문하는 전략을 펼쳤다. 유권자 파워를 보여주겠다는 것. 기자가 3시간 동안 동행한 조는 텍사스 주 하원의원 8명을 집중 공략 대상으로 삼았다. 방문 의원 중에는 하원의 FTA 소관 상임위인 세입위 무역소위원회의 케빈 브래디 위원장(공화)도 포함돼 있었다. 방문 시간에 하원의 예산관련 수정안 투표 세션이 진행돼 의원들을 직접 만나기는 어려웠지만 FTA 담당 보좌관들은 한인 방문단의 설명을 주의 깊게 경청했다. 의원실은 방문단의 연락처를 요청하며 FTA 진행 과정을 알려주겠다고 약속했다.

면담 결과 공화당 의원들은 조속한 FTA 비준에 적극 찬성하는 반면 민주당은 무역조정지원(TAA) 제도 연장안과의 연계처리를 고려해 약간 시간이 필요하다는 견해차를 보였다. 애틀랜타에서 10시간 동안 차를 몰고 와 이날 행사에 참가한 정재우 씨(무역업)는 유권자가 어떻게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뉴욕유권자센터의 김동석 상임이사는 한미 FTA 의제가 뒷전으로 밀린 데는 풀뿌리 목소리가 의회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측면도 크다며 우리는 미국에서 세금을 내는 한국계 미국인이기 때문에 의회를 당당하게 찾아 FTA 비준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 9월에라도 비준되려면 납세자들이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미경 micke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