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현대차 노사는 남입니까

Posted June. 24, 2006 08:18,   

日本語

현대자동차 노조가 정몽구 회장 구명운동까지 반대하는 것을 보면서 현대차 노사는 대립을 넘어 적대관계로 치닫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몰락하고 있는 GM처럼요. 빨리 돌아서지 않으면 모두 공멸할 겁니다.(김대모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

떳떳하지 못한 현대차 사측은 노조에 약점이 잡혀 끌려 다닙니다. 이렇게 해서는 회사가 제대로 성장할 수 없습니다.(서경석 선진화국민회의 사무총장)

오너에게 아니다라고 말하지 못하는 문화가 현대차 사태를 야기한 측면이 있습니다.(권영준 경희대 국제경영대 교수)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는 시민단체인 선진화국민회의(공동상임위원장 박세일 이명현 이석연) 주최로 교수 및 자동차 분야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자동차의 미래를 위한 제언 토론회가 열렸다.

3시간 동안 진행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현대차가 위기를 극복하려면 경영시스템과 노사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권 교수는 성수대교가 무너진 것은 안전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경영 감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사외이사 선임 과정을 투명화하고 경영감시체계를 작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위원회도 사전 감독을 통해 대형 악재가 터지지 않도록 본연의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사가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라는 당부도 나왔다.

김 교수는 선진화국민회의 홈페이지의 토론방에 실린 노조의 글에 대해 사측이 보낸 해명 자료를 보니 회사 상황이 이해됐다며 왜 노사가 직접 대화하지 못하고 시민단체를 통해 의견을 주고받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문호 한국노동혁신연구소장은 현대차 노조는 사측에 달라고 요구만 하고 사측은 이만큼 줄 테니 이만큼 하라며 서로를 거래상대로만 본다면서 작은 일부터 서로를 배려하는 데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것을 촉구했다.

이 소장은 독일 월드컵에서 토고 선수가 한국 선수의 다리를 주물러 주는 모습이 큰 감동을 줬듯이 현대차도 제도나 틀을 급격히 바꾸기보다는 노사가 서로에게 감동을 주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며 야구에서 안타나 번트 등 작은 기회를 활용해 꾸준히 득점을 이어나가는 스몰볼처럼 현대차에도 스몰볼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선진화국민회의는 토론회를 마치며 발표한 성명서에서 현대차가 시스템 경영을 정착시키고 후계자의 경영능력이 검증되는 경우 경영권을 상속하며 사외이사를 전면 교체해 투명경영에 대한 의지를 보일 것을 촉구했다.

회사의 사업 기회를 가로채 조성한 재산은 회사에 반환해야 하는 만큼 사회에 헌납하기로 한 1조 원은 연구개발 비용으로 활용할 것도 제안했다.

또 사측은 노조의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노조도 지나친 임금 인상 요구와 연례적 파업에서 벗어날 것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정몽구 회장이 석방돼 그룹경영을 정상화할 수 있도록 관계당국의 선처를 요청했다.

다만 현대차가 변화와 혁신 없이 경영위기만을 호소해 정 회장을 석방하려는 것은 국민을 실망시키는 행위라고 비판하며 모든 구성원이 뼈를 깎는 개혁과 반성을 통해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진화국민회의는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을 달성하고 자유민주주의를 확립하자는 취지로 올해 4월 각계 인사 2000여 명이 참여해 만든 시민단체다.

이 단체의 서 사무총장은 올해 3월 울산 현대차 공장 앞에서 집회를 열고 현대차 노조에 대해 고통분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몇 년간 임금을 동결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손효림 aryss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