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북파공작원 7000여명 전사 외면

Posted February. 16, 2004 23:06,   

日本語

최근 영화 실미도로 북파공작원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1990년대 중반까지도 상당수의 공작원을 북파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또 그동안 북파공작원의 가족들에게 전사통지서를 보낸 숫자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국방부가 최근 한나라당 이경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1950년대부터 북파된 공작원 중 확인된 전사자는 7726명이지만 정부가 전사자 가족에게 보낸 전사통지서는 136장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40여년간 북파됐거나 북파를 위해 훈련받은 공작원 1만3835명을 시기적으로 분류하면 625전쟁 기간인 1951년부터 1953년 7월까지 4536명, 1953년 휴전협정부터 1959년까지 3604명, 1960년부터 74남북공동성명 이전인 1972년 7월까지 2806명 등이다. 특히 이와는 별도로 실미도의 배경이 되는 1968년 이후 1994년까지 북파된 공작원은 2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990년대 중반까지 북파가 이뤄졌음을 입증해 주는 대목.

북파공작원의 생사를 확인해 주지 않아 유족 등 가족들이 겪은 고통도 작지 않았다.

막노동으로 지체부자유 장애인인 부인과 세 자녀의 생계를 잇던 A씨는 44세가 되던 1962년 북파공작원으로 포섭된 뒤 세 차례 북한에 침투한 끝에 결국 사살되고 말았다.

그러나 가족들은 전혀 이 일을 모르고 40년을 보냈다. 두 아들은 생활고를 비관해 자살하거나 보육원에 보내졌고 부인마저 숨을 거뒀다. 이렇게 온 가족이 풍비박산했고 2002년에야 막내딸은 아버지의 전사통지서를 받고 울먹였다.

한편 이 의원은 이들 공작원 가족의 비운이 이어졌지만 국가는 40년이 지나도록 전사통지조차 하지 않았다며 이는 국가가 국민에게 저지른 만행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지난달 제정된 보상법에 의하면 전사자 가족들에게 지급해야 할 보상금이 1조8500억원대에 달하지만 정부가 책정한 예산은 4500억원대에 불과하다며 정부가 제대로 명예회복과 보상을 하려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다음달 창간되는 북파공작원 월간지 대한국인()에 기고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국방부 관계자는 극히 민감한 부분이라 자료를 확인해 줄 수 없다며 정부 시행령에 따라 계획대로 보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재동 jarret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