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아프리카 NGO ''노예제도 배상하라''

Posted August. 25, 2001 10:19,   

日本語

18년 만에 열리는 유엔인종차별철폐회의(WCAR)를 일주일 앞두고 아프리카의 40개 비정부기구(NGO) 연합체는 23일 WCAR가 노예제도를 반인륜범죄로 인정할 것을 촉구하는 한편 노예제도를 시행했던 당사국들에 대해 배상을 요구했다.

31일부터 내달 7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WCAR에 참가할 아프리카 NGO들의 조정관인 알리우네 티네는 세네갈 다카르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흑인의 노예화와 식민주의가 아프리카인에 대한 차별을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또 아랍연맹 외무장관들은 WCAR에서 이스라엘의 시오니즘을 인종차별로 규정하는 데 전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23일 밝혔다. 시오니즘은 팔레스타인에 유대민족국가를 건설하려는 유대민족주의운동을 뜻한다.

노예제도를 반인륜범죄로 인정하고 시오니즘을 인종차별로 규정해야 한다는 이 같은 주장들은 194개국 정부와 민간단체에서 총 1만40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18년 만에 개최될 WCAR에서 큰 파장을 몰고 올 전망이다.

노예제도와 시오니즘 문제는 매우 중대하고 민감한 사안이라 100여개국 대표들은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준비회의를 열어 WCAR 폐막 때 채택할 선언문과 행동계획의 문안을 절충했으나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미국과 유럽의 강대국들은 노예제도에 대한 악행을 인정할 수는 있다면서도 공식사과와 배상문제를 의제로 다루는 것은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시오니즘 문제 역시 이스라엘을 의식해 논의해선 안 된다는 태도다.

미국은 이 문제들이 의제로 다뤄진다면 아예 회의를 보이콧하겠다고 엄포까지 놓았다. 미국은 1978년과 1983년 회의 때도 시오니즘이 의제로 포함되자 회의에 불참했다.

반면 아프리카와 국제 인권단체들은 이번 기회를 이용해 노예제도 문제를 법적, 경제적으로 완전히 청산하고 넘어가자는 주장을 펴고 있다. 또 아랍국가들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 문제를 반드시 거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이밖에도 인도의 카스트제도(신분차별제도)와 유럽의 외국인 혐오주의도 다뤄질 예정이다.

행동계획 조정안에 역사 및 기타교과서를 포함해 인권 등에 관한 교육자료를 개선한다는 문구가 삽입된 것도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최근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종훈 taylor5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