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반송한 파일” “기억 못해”… 고발사주 ‘모르쇠’로 입 맞췄나

“반송한 파일” “기억 못해”… 고발사주 ‘모르쇠’로 입 맞췄나

Posted November. 04, 2021 07:20   

Updated November. 04, 2021 07:20

中文

이른바 ‘고발사주’ 의혹의 핵심으로 지목된 손준성 검사와 국민의힘 김웅 의원이 잇따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소환 조사를 받았다. 수사에 착수한 지 55일 만이다. 당사자들의 비협조, 섣부른 영장 청구 등 우여곡절 끝에 직접 조사가 이뤄졌지만 의혹 해소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손준성 보냄’이라는 텔레그램 출처 표시 때문에 최초 고발장 작성자로 의심을 받고 있는 손 검사는 혐의를 부인하며 “대검 수사정보정책관 시절 범죄 첩보를 제보 받는 일이 많았다. 제보를 접수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기 위해 제보자에게 파일을 다시 보내줬다”는 논리를 폈다고 한다. 당시 상황이 기억나지 않지만, 누군가 고발장을 보내와 ‘반송’ 등의 방식으로 거절했는데 반송된 파일이 다른 경로를 거쳐 김 의원에게 전달됐을 수는 있다는 것이다.

문제의 고발장을 제보자인 조성은 씨에게 전달한 김 의원은 “(애초 고발장을 작성한) 제보자와 경위는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고발사주는 실체가 없다”고 주장했다. “(조 씨가 공개한) 녹취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지시 내용이 없다” “대검이 (내게 고발장을) 준 것이면 왜 대검에 말을 잘 하겠다고 했겠느냐. 앞뒤가 맞지 않는다” 등의 논리다.

두 사람의 해명은 여전히 옹색하다. 손 검사 측 논리와 달리 텔레그램에는 ‘반송’ 기능이 없다. ‘손준성 보냄’ 표시가 조작된 흔적도 없다. 어떤 연유로 발신자 표시가 됐는지 명쾌하게 설명이 안 된다. 김 의원은 “고발장 초안을 저희가 만들어서 보내겠다”는 등의 얘기까지 했다. 그래놓고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말만 되풀이하니 뭔가 숨기는 게 있다는 의심을 사지 않을 수 있겠나.

두 사람이 ‘모르쇠’와 ‘시간 끌기’ 전략을 펴는지 모르겠으나 고발사주 의혹은 검찰권 사유화 논란과 맞물려 흐지부지 넘어갈 수 없는 사안이다. “대검이 억지로 받은 것처럼 하라” 등 김 의원의 녹취 파일엔 가벼이 넘어갈 수 없는 내용이 적지 않다. ‘저희’의 실체 규명에 공수처의 자존심이 달려 있다. 박지원 국정원장이 관여된 이른바 ‘제보사주’ 의혹도 함께 밝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