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에너지 많이 먹는 건물 아예 못짓는다

Posted November. 16, 2005 08:23,   

日本語

건교부는 내년 8월까지 구체적인 방안을 만든 뒤 관련 법령을 개정해 2007년부터 시행하면서 점차 대상 건물을 확대할 계획이다. 고유가가 장기화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후변화협약이 발효되면서 에너지 절감 필요성이 절실해진 데 따른 것이다.

에너지 소비 적어야 건축 허가

에너지 소비 총량제는 건축물의 m당 연간 에너지 소비량을 정해 이 기준에 맞춰 건물을 설계해야 건축 허가를 내주는 제도다. 일본 영국 독일 등지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다.

건설기술연구원은 내년 8월까지 건축물의 용도별, 설계특성별 표준건축물을 만들고 m당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해 각 건축물에 맞는 기준을 정할 방침이다.

우선 연면적 1만m 이상의 대형 건물과 정부청사 등 공공 건축물에만 적용하되 중장기적으로는 일반 건축물과 공동주택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건기연 이승언() 건축연구부장은 주택을 제외하고 면적 기준으로 1년에 평균 4000만5000만m의 건축물이 새로 지어진다면서 당장 에너지 총량제를 적용받는 대형 건축물은 이 가운데 5% 정도가 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건기연은 건축 허가 때 에너지 절약 계획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건물도 현재 50채 이상의 공공주택 등 8종에서 연면적 1000m(302.5평) 미만의 공공건물과 여객 터미널, 철도역사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할 방침이다.

에너지 절감 기술 개발 효과도

총량제는 건축물의 외벽, 지붕, 바닥, 전기난방 설비 등 부문별로 각각 설계 기준이 정해져 있는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과 달리 건물 전체의 에너지 소비량을 규제한다.

건축물의 에너지 설계 기준이 현재보다 10% 강화되면 10년간 에너지 소비가 3조5000억 원 정도 절감된다고 건기연은 추정했다. 연간 3500억 원가량의 절감 효과를 거두는 셈.

총량제가 시행되면 또 신재생 에너지 등 신기술을 적용한 건축물 개발이 활기를 띠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코오롱건설 기술연구소 김용경() 과장은 에너지 소비 총량제가 도입되면 이에 맞춘 새로운 건축자재나 건축기법, 설계 등이 다양하게 개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술은 이미 확보, 실용화가 문제

건설업계도 고유가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에너지를 덜 사용하는 건축물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대림산업이 국내외 에너지 관련 기업과 함께 개발한 3L 하우스.

다음 달 경기 용인시 대림산업연수원에 준공될 이 주택은 지열과 태양열로 난방을 하고 수소전지를 설치해 전기를 얻으며 수소전지의 폐열을 이용해 급탕을 하도록 설계됐다. 기름이나 전기 이용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의 일종이다.

3L 하우스라는 이름도 연면적 42평, 2층 규모인 이 집에서 1m를 1년간 냉난방하는 데 사용되는 기름의 양이 3L 정도에 불과하다고 해서 붙여졌다. 일반적인 국내 주택의 m당 연간 기름 사용량 17.5L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6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드는 셈이다.

다만 아직 건축 비용이 많이 드는 게 단점이다. 따라서 일반인에게 널리 보급하려면 정부 보조가 불가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3L 하우스를 짓는 데는 수소전지 제조 및 설치 비용 2억5000만 원을 포함해 모두 6억875만 원이 들었다. 같은 규모의 일반 주택에 비해 3배 이상 비싸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상동() 그린빌딩사업단장은 지난해 에너지 절약 기술 개발에 13억 원을 썼지만 실용화 연구에는 정부 지원이 없었다며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실용화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임수 ims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