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가짜동전 딜레마

Posted May. 29, 2006 03:01,   

日本語

25일 서울의 한 시중은행 지점. 본보 취재팀은 은행에서 바꾼 동전에서 종종 가짜가 섞여 나온다는 제보를 받고 직접 은행을 찾았다. 가짜와 진짜를 섞어 넣고 100원짜리는 50개씩, 500원짜리는 40개씩 말아주세요라고 요청했다.

기계는 촤르륵 소리를 내며 원기둥 모양의 동전 꾸러미를 뱉어냈다.

거기에는 진짜 100원짜리에 섞어 넣은 붉은악마 기념 동전과 필리핀 1페소 동전이 그대로 들어있었다. 은행 직원도 놀랐다.

가짜 동전이 나돈다

시중에 유통되는 가짜 동전은 조잡한 것이 대부분이다. 크기와 무게가 100원, 500원짜리와 비슷한 전자오락실용 동전부터 플라스틱으로 만든 어린이은행 발행 동전까지 발견됐다.

외국 동전도 많이 나온다. 필리핀 1페소(약 18원)짜리가 대표적. 한국의 100원짜리와 크기 두께 무게가 비슷해 자동판매기와 전자오락실 게임기는 물론 은행의 동전분류기도 가려내지 못한다.

과거 한국의 500원짜리 동전도 일본의 500엔짜리 동전 대신 자주 사용됐다. 이것이 문제가 되자 일본에서는 동전에 전기를 흘려 가짜 동전을 구별하는 새 기계를 도입했다.

국내에서는 아직 피해 사례가 적어 새 기계 도입이 더디지만 해외여행이 잦아지고 필리핀 근로자가 늘어나면서 1페소짜리 동전의 피해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은행도 손 놓았다

하지만 은행들은 가짜 동전의 유통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상인들이 많이 찾는 서울 남대문시장 인근의 한 은행에서는 상인들이 가짜가 나왔다고 항의하면 귀찮다는 듯 새 동전으로 교환해 준다.

가짜를 가려내기 위해 새 기계를 들여 놓는 것보다 그때그때 진짜로 바꿔 주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새 기계 1대 값은 300만 원이 넘고 수명도 710년에 불과하지만 가짜 동전을 교환해 주면서 입는 손실은 아무리 많아도 연간 10만 원에 못 미친다.

국내 유일의 법화() 발행기관인 한국은행도 가짜 동전의 유통에 대해서는 책임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은 고위 관계자는 한은은 은행권(지폐)과 주화의 발행만 책임질 뿐 가짜 동전의 유통을 막는 일은 권한 밖의 일이라고 말했다.

최근 구리 값이 오르자 시중에서는 10원짜리 동전을 녹여 액세서리로 만들어 파는 사례까지 발견됐다. 신용카드 소액결제가 늘면서 동전 사용량도 줄어든다.

은행들은 동전 교환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일정 금액 이상의 동전을 바꾸거나 동전으로 예금을 받을 때는 수수료를 받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김상훈 sanh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