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녹색통일헐벗은 북녘땅에 나무를 심자

Posted March. 19, 2014 03:05   

中文

헐벗은 북한 산림을 되살리기 위한 한국 북한 중국 등 3국 민간단체의 조직적 노력이 본격화한다. 북한의 산림녹화와 임농() 복합경영을 추진하는 아시아녹화기구가 19일 출범식을 갖고 그 첫 활동으로 한반도 녹화계획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아시아녹화기구의 가동은 북한 산림녹화 사업에 당장 착수해도 수십조 원이 들고 시간이 갈수록 그 비용은 늘어날 수밖에 없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한국의 생태계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줄 뿐 아니라 통일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또 동아시아의 환경 문제에도 확대될 수 있다.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리는 이 출범식은 한국의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 서울대, 고려대와 북한의 평양과학기술대, 중국의 런민대가 공동 주최한다. 동아일보와 통일부 외교부 농림축산식품부 산림청이 후원한다. 동아일보는 지난해 4월 1일 창간 93주년을 맞아 연중기획 준비해야 하나 된다-통일코리아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그 7대 과제(다짐)의 하나로 녹색 통일부터 이루자를 내세웠다. 그 후 북한 산림녹화의 중요성을 역설해왔다.

18일 동아일보가 입수한 산림청의 북한 산림복원 비용 보고서에 따르면 황폐화된 북한의 산림은 전체 면적의 32%인 284만 ha(2008년 기준)에 이른다. 이를 복구하는 데 모두 32조1172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됐다.

북한의 산림은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으며 인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훼손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이 최근 독일 상업위성이 촬영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도심인 평양과 개성은 같은 기간 양강도 혜산과 황해북도 봉산 등에 비해 황폐화가 더 빠르게 진행됐다. 이는 도시민들이 벌채와 개간을 마구 했기 때문으로 산림과학원은 해석했다. 특히 개간 산지로 바꾸고도 농작물 도난 등으로 아예 작물을 심지 않고 방치한 나대지가 많아 황폐화가 더욱 심화되는 악순환이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북한 산림녹화는 단순한 나무 심기를 넘어서서 식량과 연료 마련, 소득 대책이 병행된 종합 형태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조숭호 shcho@donga.com이기진 기자

A3면에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