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북핵 새 접근 필요... ‘남북 합병’으로 가야하지 않나”

“북핵 새 접근 필요... ‘남북 합병’으로 가야하지 않나”

Posted November. 18, 2016 09:10,   

Updated November. 18, 2016 09:11

日本語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6자회담도 하고 대북제재도 해 봤지만 이뤄진 게 없다. 새로운 형태의 접근을 해야 하는 것 아닌가. 북핵 등 한반도 문제의 궁극적 해결 방안은 (남북 간) ‘합병(merge)’으로 가야 하는 것 아닌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초대 국무장관 후보로 거론되는 존 볼턴 전 유엔주재 미국대사(사진)는 16일(현지 시간) 워싱턴의 미국기업연구소(AEI)에서 방미 중인 한국 의원들을 만나 이렇게 말했다.

 볼턴 전 대사는 이날 새누리당 정병국 나경원,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국민의당 정동영 조배숙 의원으로 구성된 ‘국회동북아평화협력의원외교단’과 북핵 문제 해법을 논의하며 “결국 통일이 한반도 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책”이란 인식을 보였다. 의원들은 “통일을 ‘유니피케이션(unification)’이 아닌 기업 인수합병(M&A) 때 쓰는 합병(merge)으로 표현한 것이 특이하게 느껴졌다”고 전했다. 배석했던 안호영 주미대사는 “통일이 동등한 두 주체 간의 결합임을 강조하기 위해 ‘합병’이란 단어를 쓴 것 같다”고 말했다.

 워싱턴과 뉴욕의 외교소식통들은 “대북 강경파인 볼턴 전 대사의 성향을 볼 때 ‘남한에 의한 흡수합병(흡수통일)’을 의미한 것으로 봐야 맞다”고 해석했다. 즉 볼턴 전 대사가 새 정부의 국무장관이 될 경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 체제 전환’이나 흡수통일 같은 큰 구도의 새로운 대북 접근이 시도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이 같은 해석은 볼턴 전 대사가 이날 ‘대북 선제타격도 없고, 북-미 대화도 없을 것’이란 태도를 보인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그는 “미국이 북한 문제에 있어 무력을 사용하는 일은 절대 없다. 대북 선제공격으로 인해 한국이 얼마나 많은 대가를 치를지 잘 알고 있다. (선제공격) 가능성은 제로(0)”라고 말했다. 북-미 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개인적으로 거기(대화 테이블)에 앉을 생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볼턴 전 대사는 이날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가 미국 내에서 가장 우려하는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며 “북한의 공격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욕=부형권특파원 bookum90@donga.com · 워싱턴=이승헌 dd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