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 품앗이 운동

Posted October. 25, 2010 02:59,   

日本語

1950년대 필리핀은 아시아에서 일본 다음으로 잘 사는 나라였다. 1949년 동남아국가 중 우리나라와 처음으로 수교했고, 1963년엔 필리핀 기술자들이 우리나라 최초의 돔식 실내체육관인 서울의 장충체육관을 지어줬다. 625전쟁이 터졌을 때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전 대통령의 아버지인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의원(19611965년 대통령)이 필리핀 파병법안을 발의했다. 보병 1개 대대가 용감히 싸우다 112명의 전사자와 229명의 부상자를 냈다.

인연은 돌고 도는 모양이다. 휴전 50주년인 2003년부터 625 참전용사에게 보내는 감사편지 쓰기 행사를 하고 있는 사단법인 H2O품앗이운동본부의 장문섭 사무총장이 올 7월 필리핀을 방문해 편지를 전달하자 그들은 감동했다. 아버지가 625 참전용사였던 필리핀 팜팡가 주 칸타바 시의 제리 펠라이요 시장은 지금 필리핀에도 필요한 운동이 품앗이라며 품앗이 운동 MOU를 체결했다. 22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2010 품앗이안 세계대회에는 아로요 전 대통령이 참석해 어려울 때 도움을 주고 또 이를 잊지 않고 갚는 Pumassi(품앗이)가 필리핀과 한국의 우정과 협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감사를 표했다.

올해 이경재 의원(한나라당)이 H2O 이사장으로 선임되면서 우리 고유의 미풍양속 품앗이를 세계적 브랜드로 만들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품앗이는 타산적으로 들리는 Give & Take와는 많이 다르다. 사랑과 정이 오간다는 의미도 아름답지만 마침 외국인이 발음하는데도 어렵지 않다. 이 이사장은 16개 625 참전국가를 중심으로 세계 품앗이 네트워크를 만들어 도움 받는 나라에서 도움 주는 나라로 발돋움한 국격 있는 한국의 참모습을 보일 계획이다.

625 참전 인연이 있는 나라 사람들은 지금도 한국에 우리가 놀랄 만한 관심과 애정을 보인다.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를 유치할 만큼 발전한 것을 보며 자신들도 기여한 바 있다는 자부심을 갖기도 한다. 한국은 수십 년간 외국원조를 받으면서도 여전히 가난한 아프리카의 몇몇 나라들과는 차원이 다르다. 하지만 우리도 자부심을 갖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한국의 품앗이운동이 지구촌 공영()의 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김 순 덕 논설위원 yur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