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 창지개명

Posted March. 01, 2005 22:53,   

日本語

일제()가 우리에게 저지른 가장 못된 짓으로 창씨개명()이 꼽힌다.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이름 대신에 일본식 이름을 지어 쓰도록 강요한 것이다. 김씨는 가네야마(), 이씨는 리노이에(), 백씨는 시라카와() 등으로 성씨의 흔적을 남겨주긴 했다. 남() 유() 임()씨는 일본에도 있는 성이라는 이유로 본래 성을 유지하려고 애썼고, 청송 심씨의 아오마쓰(), 달성 서씨의 다쓰시로()처럼 본으로 성을 삼은 경우도 있다. 끝까지 불응한 사람은 5% 정도다.

일제는 조선의 전통 지명()도 자기 입맛에 맞게 고쳤다. 녹색연합이 최근 백두대간 인근 32개 시군의 산, 봉우리, 마을 이름 등을 조사했더니 22곳의 지명이 일제의 창지개명() 상태로 남아있었다. 대표적인 사례는 왕()자를 일본 왕을 의미하는 황() 또는 왕(+)으로 바꾼 경우. 이로 인해 서울 인왕산()이 인왕산()으로, 속리산 천왕봉()은 천황봉()으로 바뀌었다. 인왕산은 광복 50주년인 1995년에야 본래 이름을 되찾았다.

마을의 유래를 무시하고 쉬운 한자로 바꾼 경우도 있다. 거북 모양의 바위가 있는 강원 양구군 구암리()와 경남 함양군 구평()마을이 각각 구암리()와 구평()마을로 바뀌었다. 전북 장수군 용계()마을은 고려 말 이성계가 잠이 들었다가 닭 울음소리를 듣고 깨어나 왜적을 무찌른 곳인데 일제강점기 때 용계()마을로 바꿨다. 백운봉 인수봉 노적봉을 일컫는 삼각산()은 한강 남쪽에 남한산이 있다는 이유로 북한산()으로 고쳐졌다.

일제는 이 밖에도 전국의 고봉()에 쇠말뚝을 박고, 태봉()에 묻혀 있는 왕가()의 태항아리를 도굴해가기도 했다. 왜구가 임진왜란 당시 전국 명산의 혈()을 끊어 이후 한반도에서 큰 인물이 나오지 않는다는 얘기도 떠돌았다. 31절에 또다시 민족의 수난을 되새기게 된다.

오 명 철 논설위원 osca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