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 한국계 주한 미국 대사

Posted June. 06, 2011 07:51,   

日本語

돈을 받고 공직을 주는 엽관제(spoils system)가 21세기 미국에 엄연히 존재한다. 엽관제가 적용되는 대표적인 공직이 대사 자리다. 존 루스 주일 미국대사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선거 유세를 위해 50만 달러를 모아준 캘리포니아 주 출신 변호사다. 씨티그룹 부회장을 지낸 루이스 서스맨 주영 미국대사는 민주당에 25만 달러를 기부했고 오바마 대통령의 취임식을 위해서 따로 5만 달러를 기부했다. 살로먼브러더스 애널리스트 출신의 찰스 리브킨 주프랑스 미국대사 역시 오바마 대통령을 위해 50만 달러 이상을 모아줬다.

주한 미국대사 자리는 골치만 아프지 돈 주고 살 정도로 좋은 자리는 아닌 모양이다. 1980년 이후 주한 미국대사를 지낸 사람들은 대부분 직업 외교관 출신이다. 현 캐슬린 스티븐스 대사, 이전의 알렉산더 버시바우, 크리스토퍼 힐, 토머스 허버드, 스티븐 보즈워스, 제임스 릴리 대사 등이 모두 실무형이다. 도널드 그레그 대사는 아시아 근무를 많이 한 중앙정보국(CIA) 출신이었고 리처드 워커 대사는 동아시아 전공 학자 출신이었다.

성 김 미 국무부 6자회담 특사가 새 주한 미국대사로 내정됐다. 미 상원 인준을 통과하면 최초의 한국계 주한 미국대사가 된다. 한국 이름이 김성용인 그는 중학교 1학년 때 미국으로 이주했다. 로스쿨을 나와 검사 생활을 하다 직업 외교관으로 변신했다. 한국인 여성과의 사이에 두 딸을 두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4월 주중 미국대사에 중국계 게리 로크 상무장관을 임명했다. 그 역시 최초의 중국계 주중 미국대사로 상원 인준을 기다리고 있다. 일본계는 아직 주일 미국대사에 임명된 적이 없다.

김 내정자는 한국말과 영어가 동시에 유창하고 우리 역사와 한국인의 정서를 잘 이해하고 있다. 평화봉사단 출신인 스티븐스 대사도 일상적인 대화는 했지만 토론이 깊어지면 통역을 이용했다. 한미 관계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 기회다. 그러나 김 내정자는 엄연히 미국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미국 국적의 외교관이다. 미국 해군의 정보국 직원으로 한국에 군사기밀을 유출해 장기 복역한 로버트 김 씨를 보더라도 김 내정자에게 지나친 기대를 거는 것은 금물이다.

송 평 인 논설위원 pis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