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BDA 해결사 러시아 떴다

Posted June. 16, 2007 04:57,   

日本語

제 역할을 해줄 줄 알았던 중국은 주저앉았고, 뒤편에 숨어 있을 줄만 알았던 러시아가 문제 해결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은행에 동결됐던 2500만 달러가 북한에 반환되는 과정에서 외교 몽니를 보인 중국과 해결사를 자처한 러시아의 엇갈린 결정이 워싱턴 외교가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3개월간 겉돌던 BDA은행 송금 문제는 독일에서 열린 주요 8개국(G8) 정상회의에서 성사된 미-러 외무장관 회담을 계기로 러시아가 내가 해결하겠다고 나서면서 가닥이 잡혔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14일 미국은 꼬인 실타래를 풀게 해 준 러시아의 결단에 감사의 뜻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마카오뉴욕모스크바러시아 극동지역평양으로 이어지는 자금의 흐름을 위해 자국 중앙은행과 극동상업은행을 앞세웠다. 물론 극동상업은행이 개입해도 국제 금융가에서 신용 훼손을 입을 가능성을 미국이 차단해 줘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러시아는 이 과정에서 6자회담 무()역할론을 씻는 망외의 수확을 했다. 다른 소식통은 러시아는 냉전시절 제국을 경영하면서 대국 외교를 편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의 6자회담 정책에 찬성과 반대 의견을 적절히 구사해 왔다고 전했다. 이번 해결사 역할도 BDA은행 자금문제 때문에 수개월째 겉도는 상황 극복을 위해 필요하다면 우리가 해 보겠다고 자원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러시아는 냉전 종식 후 극동아시아에서 잃어버린 영향력을 회복하기 위해 6자회담에 참가해 왔으나 별다른 역할이 없었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일부에서는 북한이 지난해 109 핵실험 직전에 중국보다 러시아에 더 상세한 사전설명을 했던 점을 내세워 러시아의 대()북한 영향력 증대론을 펴기도 했다.

반면 6자회담 개최국인 중국은 스타일을 구겼다는 평가가 많다. 외교통상부 고위 관계자는 15일 중국은 미국에 대한 불신을 씻지 못해 BDA은행 송금문제 해결 과정에서 협조를 거부했다고 말했다. 미국이 BDA은행을 2005년 돈세탁우려기관으로 지정한 이후 중국은 국내법 조항을 앞세워 마카오 금융기관의 문제를 좌지우지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 고위 관계자는 베이징은 미국이 (엉성한 합의를 북한에 해 주면서) 꼬이게 만들어 놓고 중국에게 처치하라는 건 부당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미 국무부와 재무부는 지난 3개월간 BDA은행 송금문제 해법을 위해 국영 중국은행(BOC)을 통한 송금, 스탠리 아우 BDA은행 회장의 퇴진, BDA은행의 법인청산 등 여러 해법을 제시했으나 중국은 마카오의 금융정책은 베이징과는 독립적으로 결정된다는 이유를 앞세워 호응하지 않았다.



김승련 sr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