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과의 오랜 전쟁과 봉쇄로 폐허가 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미국이 장악(take over)하고 소유하겠다”고 밝혔다. 가자 주민 약 214만 명을 중동의 다른 나라로 이주시킨 뒤 미국이 장기간 가자지구를 개발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 국가로 공존하도록 한다는 국제사회의 ‘두 국가 해법’과 정면으로 대치된다. 실제 관련 조치가 추진될 경우 가자 주민들을 강제로 이주시킨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고, 주권 침해와 인종청소 등의 논란도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의 화약고’ 중동의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도 높다. 뉴욕타임스(NYT)는 “지정학적 ‘판도라의 상자’가 열렸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은 가자지구의 단순한 복구가 아닌, 새로운 방식의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미국이 개발하는 가자지구는 “중동의 ‘리비에라’(Riviera·프랑스 남부와 이탈리아의 지중해 연안 휴양지)”가 될 것”이라며 부동산 사업가의 면모를 드러냈다. 가자지구에 미군을 보내겠느냐는 질문에도 “필요하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 주민의 이주 예상 지역으로 요르단과 이집트를 꼽았지만 두 나라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다른 아랍 국가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에 부정적이다.
반면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관련 발언에 대해 “주목할 만한 제안이며 테러의 땅에서 새로운 미래를 엿보는, 역사를 바꿀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이란에 대해서도 “(집권 1기의) 최대 압박 정책을 복원했다”며 “이란의 석유 수출을 ‘제로(0)’로 만들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신진우 nicesh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