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사설] 대처의 위기 극복 리더십, 박 대통령이 모델 삼기를

[사설] 대처의 위기 극복 리더십, 박 대통령이 모델 삼기를

Posted April. 10, 2013 04:20   

中文

31년 전인 1982년 4월 2일 영국령 포클랜드가 아르헨티나의 공격을 받았다. 어느 시대에나 국가 최고 지도자의 사명은 영토의 주권을 지키는 데 있다. 마가릿 대처 영국총리는 즉각 군함을 보내 영토탈환을 명령했다. 그해 6월 14일 아르헨티나의 항복을 받아내기까지, 어떤 남성지도자보다 더 강한 전쟁리더십을 발휘햇던 대처 전 영국총리가 8일 세상을 떠났다.

그는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전쟁을 말리자 알래스카가 침공 당했다면 당신도 나와 똑같이 했을 것이라며 타협을 거부했다. 그는 전쟁이 끝난 뒤 255명 전사자 가족들 모두에게 자필로 위로의 편지를 보내 국민에게 감동을 주었다. 영국의 첫 여성총리로서 대처는 어떤 남성지도자보다 담대하고 강인한 리더십을 보여줌으로써 여성정치인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무너뜨렸다. 대처의 국가 수호 리더십은 김정은 집단의 전쟁협박을 받는 박근혜 정부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

철()의 여인이라는 대처의 별칭은 정부의 첫 번째 의무는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선언한 1976년 연설에서 비롯됐다. 구소련이 대처를 비난하려고 지어준 것이지만 그는 되레 최고의 선물이라며 반겼다. 대처는 국민 개개인이 국가의 억압 없이 자유로운 삶을 영위할 때 국가도 부강해진다고 믿은 자유의 수호자였다. 1951년 총선을 앞두고 우리나라의 625전쟁을 언급하며 공산주의에 대항해 서구가 일어서야 한다고 역설한 바 있다.

그는 구소련의 전체주의적 본질 꿰뚫어보고 레이건과 함께 악의 제국 소련을 붕괴시키고 냉전을 종식시킴으로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아이콘이 됐다. 2300만 북한 주민의 자유와 인권을 말살하는 북한도 언젠가 무너질 수밖에 없다. 북과 대화할 때는 하더라도 맞서야 할 때는 누구보다 강하게 맞서는 철의 여인 같은 리더십은 박 대통령의 롤 모델이 돼야 할 것이다.

대처리즘은 1970년대 저성장 고실업과 고인플레, 시도 때도 없는 파업 등 영국병을 자유화 민영화 탈규제로 치유했다. 영국을 부활시키고 시장경제를 되살림으로써 세계역사를 바꿔놓았다는 평도 나오고 있다. 조국이 쇠락하는 것은 참을 수 없다는 애국심, 버는 것보다 더 써서는 안 된다는 시장원칙은 지금 우리에게도 절실한 덕목이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는 성장이 절실한 지금 우리에게는 더 많은 대처리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말년의 대처는 그는 제왕적 스타일 때문에 민심을 잃고 정치에서 물러났다. 변하지 않기 위해서는 끝없이 변해야 한다는 점을 일깨워준 점에서도 그는 위대한 지도자였다. 삼가 명복을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