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사설] 자영업 죽이는 노정권의 이념경제

[사설] 자영업 죽이는 노정권의 이념경제

Posted July. 24, 2006 03:18   

中文

식당, 판매점 등 영세 개인사업자의 휴폐업이 급증하고 있다. 상당수 생계형 자영업자들은 외환위기 때보다 더 안 좋다며 생계 포기상태라고 호소한다. 정부를 고발하고 싶다는 분노의 목소리도 들린다.

정부는 전국 음식점이 60만 곳, 소매점이 63만 곳이나 돼 과당경쟁 때문에 수익성이 악화됐다고 분석하지만, 기업형 일자리 부족이 자영업자 증가의 선행원인이다. 정부가 기업들의 투자를 북돋우고, 이에 따라 번듯한 일자리가 많이 생긴다면 누가 자영업만 하겠다고 고집하겠는가. 지금은 교육부총리로 옮겨 앉은 김병준 전 청와대정책실장이 자영업자가 너무 많은 게 문제라고 한 것은 무책임한 말이었다.

노무현 정권은 연평균 7%의 경제성장, 매년 50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었다. 그러나 성장률은 평균 4%도 안 됐다. 투자가 저조하니 일자리도 많이 생기지 않고 소비도 위축돼 서민이 가장 힘들다. 노 대통령은 탄핵을 돌파한 직후인 2004년 5월에도 나 있는 동안 경제문제는 없다고 장담했지만 민생경제는 활기를 더 잃었다.

노 정권은 평등, 균형발전 등을 내세우며 2%와 98% 또는 20 대 80 식으로 편을 갈라 부자 때리기에 몰두했지만 결국은 생계형 자영업자를 비롯한 서민을 괴롭히고 있는 꼴이다. 혈세로 공무원을 늘리고 재정을 풀어 직접 사업을 벌이겠다고 나섰지만 큰 정부의 실적은 어떤가. 징벌적 세금 부과 등의 부동산정책으로 주택시장을 얼어붙게 해 건설업 및 관련 자영업을 초죽음 상태로 몰아넣었다. 돈이 있어도 국내에서 편하게 소비할 수 없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고급 서비스업을 더 규제하니 여행 교육 의료 분야에서 해외로 빠져나가는 돈은 급증했다.

지금이라도 경기의 불씨를 살리고 성장력을 키우는데 매진하지 않으면 노 정권이 그렇게도 위한다는 서민이 설 땅은 더 좁아질 것이다. 그럼에도 권오규 경제부총리는 취임 첫마디로 규제 개선을 외쳤다가 불과 이틀 뒤에 말을 바꾸었다. 투자위축의 주범으로 꼽히는 수도권 규제와 대기업 출자총액 제한제에 대해 지엽말단적 문제라고 본다며 규제 완화에 미온적 태도를 보인 것이다. 노 정권의 이념코드는 고질병이라 차라리 어떤 기대도 않는 것이 속 편할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