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실명 밝힌 캠프 참여 교수들 전공분야 살펴보니

실명 밝힌 캠프 참여 교수들 전공분야 살펴보니

Posted April. 01, 2017 08:49,   

Updated April. 01, 2017 08:49

日本語

 대선후보 캠프에 참여한 분야별 교수들의 비중을 살펴보면 대선후보들이 집권 후 펼칠 주요 정책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다. 동아일보는 2012·2017년 대선후보 캠프 및 자문 조직에 이름을 밝히고 참여한 교수들의 전공과 맡은 직책을 토대로 전문분야 비중을 분석했다. 그 결과 경제와 복지 일자리 외교안보 등 당시의 시대적 현안과 관련된 전문가 영입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 복지와 과학기술에 몰린 2012년

 2012년 대선의 가장 큰 화두는 경제민주화였다. 대선 주자들은 지금까지의 경제성장이 대기업과 일부 부유층에 부(富)가 쏠리는 불평등을 낳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경제민주화 실천방안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 각 후보 캠프에 참여한 전체 교수의 27.3%가 경제 전문가일 만큼 경제정책에 두는 비중이 높았다.

 부의 재분배에 집중하는 경제정책과 함께 복지와 민생을 중시하는 기조도 이어졌다. 같은 해 대선보다 앞서 치러진 4·11총선에서 큰 화두였던 복지 이슈가 대선까지 이어진 영향이다. 2012년 대선캠프 참여 교수들 가운데 복지 분야 전문가는 10.6%. 하지만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이번 대선에서는 6.5%로 줄었다.

 한편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해 특정 분야의 성장 기반을 닦으려는 기조도 있었다. 특히 당시 박근혜 후보 캠프는 미래창조과학부 설립 구상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등 관련 전문가 33명을 대거 영입했다. 박 후보 캠프의 영향으로 2012년 대선 전체 캠프 참여 교수 가운데 과학기술 분야의 교수 비중은 9.7%가 됐다.

○ 외교·안보와 일자리에 쏠린 2017년

 이번 대선후보 캠프에서는 외교·안보와 일자리 정책에 관여하는 교수들이 눈에 띈다. 외교·안보 분야 교수들의 참여 비중은 2012년 11.1%에서 올해 14.5%로 늘었다.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북한 핵실험, 북한 김정은의 이복형 김정남 피살 사건 등 다양한 외교·안보 이슈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드는 선명성 경쟁과 맞물려 대선 주자들 간 의견이 첨예하게 갈리는 이슈다. 문 후보는 사드 배치 여부를 차기 정부에서 논의해 중국 등 주변 국가에 대한 외교적 설득을 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안 지사는 사드 1개 포대만 배치한다는 기존 미국과의 합의를 문서화해 중국 우려를 해소시키자는 주장이다. 이재명 성남시장과 유승민 후보는 각각 사드 배치를 철회하거나, 추가 배치해야 한다는 상반된 입장이다.

 최악의 청년실업 상황에서 노동정책 자문 교수를 영입하는 기조도 눈에 띈다. 지난 대선과 비교하면 3.5%에서 7.3%로 늘었다. 이를 통해 문 후보와 이 시장은 공공부문이 주도하는 일자리 창출과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공약을 내놨다. 안 지사와 유 후보는 창업 지원을 통한 벤처 활성화 방안 등을 선보였다.

 이용모 한국정책학회장은 “외교·안보, 일자리 정책이 중요하다고 후보마다 인식하지만 현재까지는 각자의 입장 표명을 한 수준에 불과하다”며 “당면한 현안만이라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비전을 담은 구체적 안을 서둘러 내놓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진도=이호재기자 hoho@donga.com · 진도=신규진기자 newj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