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12월이면, 클라라와 함께 왕자님을 기다린다

12월이면, 클라라와 함께 왕자님을 기다린다

Posted December. 03, 2019 07:35   

Updated December. 03, 2019 07:36

中文

 12월은 차이콥스키의 발레 ‘호두까기 인형’(1892년)의 계절. 차이콥스키 특유의 선율미와 멋진 관현악법으로 눈에 앞서 귀를 먼저 만족시킨다. ‘백조의 호수’가 처연하고 ‘잠자는 숲 속의 미녀’가 화려하다면, 크리스마스이브가 배경인 ‘호두까기 인형’은 귀여움과 장엄함을 함께 갖추고 있다. 이 발레의 음악적 하이라이트를 알아본다.

○ 서곡: 현악에서 베이스를 담당하는 첼로가 빠져 있다. ‘작고 깜찍한 느낌’을 살리기 위한 아이디어다.

○ 겨울 소나무 숲을 지나는 여행: 호두까기 왕자가 여주인공 클라라를 자신의 왕국으로 데려간다. 가만가만한 주제로 시작되어 차이콥스키의 교향곡을 연상시키는 장려한 클라이맥스가 압도적인 느낌을 준다.

○ 눈송이 왈츠: 군무(群舞)로 눈발이 휘날리는 모습을 묘사하는 장면. 발레 음악으로는 예외적으로 어린이(또는 여성) 합창을 등장시켰다. 합창과 푸르릉거리는 하프, 철금이 어울리는 부분은 오늘날의 영화음악보다 더 색깔이 영롱하다.

○ 트레파크: 러시아 춤 하면 연상되는, 팔짱을 끼고 앉아서 추는 동작이 있는 신나는 춤곡.

○ 갈대피리 춤: 제목에 갈대(reed)가 들어있지만 목관악기 중에서도 오보에나 클라리넷, 바순과 달리 유독 ‘리드’ 없는 플루트가 선율을 연주한다.

○ 꽃의 왈츠: 전곡의 하이라이트를 이루는 부분. 중간에 첼로가 갑작스럽게 새로운 선율을 노래하고 물러나는데, 오페라의 남자 주인공이 열렬한 구애의 노래를 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 2인무 아다지오:
시작 부분 하프가 분산화음으로 I-vi-ii-V의 화음 진행을 연주한다. 가요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피아노 소품 ‘Heart and Soul’ 등 대중음악에서도 쉽게 만나는 친근한 코드 진행이다.

○ 사탕요정의 춤: 차이콥스키는 파리에서 영롱한 소리를 내는 새 악기 ‘첼레스타’를 발견하고 이를 이 발레에서 처음 선보이기 위해 악보 출판사와 공연 관계자들에게 ‘함구령’을 내렸다.

○ ‘호두까기 인형’은 왜 짧을까?: 차이콥스키는 이 곡을 짧은 오페라 ‘이올란타’와 함께 공연하기 위한 작품으로 구상했다. 초연 이후엔 ‘호두까기 인형’만 단독으로 공연하게 됐다.

○ 실제 관현악 출연?: 우리나라에서 발레는 사전녹음(MR) 반주로 공연되는 경우가 많다. 실제 관현악 연주가 있는 공연으로는 국립발레단(예술감독 강수진)과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가 함께하는 ‘호두까기 인형’이 대표적이다. 올해는 12∼25일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한다. 5000∼9만 원.


유윤종 gustav@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