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한국 물 경쟁력 20개국중 14위

Posted October. 18, 2010 08:41   

中文

기후변화로 홍수, 가뭄 등 기상이변이 속출하는 가운데 한국의 물 경쟁력이 세계 20개 물 경쟁력 선도국가(W20Water group of 20) 중 14위로 평가됐다. 한국은 물 관련 환경 개선과 투자를 통해 W20에 포함됐지만 재해 안전성(17위)과 물 부족에 대한 미래 대응력(16위)에서 하위권에 머물렀다.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부설 지역경쟁력센터와 글로벌 컨설팅회사인 모니터그룹이 W20을 대상으로 물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미국과 싱가포르가 각각 평점 4.17점(5점 만점)과 4.05점으로 1, 2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물을 현재 보유한 자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개선하고 경제적 부를 창출하는 미래 경쟁력의 원천으로서 종합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됐다. 이를 위해 자원(물 수급안정성과 미래대응력) 환경(수해 및 수질 안전성과 환경 풍요성) 산업(물 산업 경쟁력과 성장 잠재력) 등 3개 항목으로 나눠 종합 평가했다.

조사 결과 한국의 물 경쟁력은 W20 평균(3.47)보다 낮은 평점 3.27점으로 전체 14위에 머물렀다. 3개 평가 분야별로는 자원과 산업 분야에서 각각 15위, 14위를 차지했다. 환경 경쟁력은 12위였다.

선두를 차지한 미국은 물 자원 경쟁력이 중위권(10위)이었지만 지속적인 물 관련 인프라 투자로 수질과 환경을 개선해 삶의 질을 높이고, 제너럴일렉트릭(GE), IBM 등 물 관련 소재 부품 및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기업을 보유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말레이시아에서 물을 수입하는 싱가포르는 물 자원이 빈약하지만 관련 인프라와 산업을 성공적으로 육성해 2위에 올랐다.

유럽에서는 영국(3위, 3.89점), 독일(5위, 3.82점), 네덜란드(6위, 3.81점), 프랑스(7위, 3.79점)가 근소한 차이로 상위권에 포진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우수한 물 산업 경쟁력(5위)에 힘입어 8위(3.73점)를 차지해 싱가포르의 뒤를 이었다. 최근 물 관련 인프라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중국은 물 자원과 환경 경쟁력이 취약해 종합 16위(3.11점)에 머물렀다.

지리적 특성으로 물이 부족하거나 심각한 물 부족을 경험한 국가의 약진도 눈에 띄었다. 2000년대 들어 심각한 가뭄을 겪었던 호주는 물 자원 관련 인프라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로 영국에 이어 종합 4위(3.83점)로 평가됐다. 중동 국가인 이스라엘도 한국보다 2계단 앞선 12위(3.44점)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