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포스코 “원료 제때 하역 못해 수백억 허비...물류 통합관리 시급”

포스코 “원료 제때 하역 못해 수백억 허비...물류 통합관리 시급”

Posted May. 21, 2020 07:25   

Updated May. 21, 2020 07:25

中文

 포스코가 비효율적인 물류 관리로 한 해에 수백억 원씩을 허비하고 있다는 자체 경영진단에 따라 물류 통합법인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스코GSP’라는 법인을 올해 안에 만들어 계열사들의 물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포스코는 친환경·스마트 물류의 성과를 기존 물류·해운업체와 공유해 상생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20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해 하반기에 그룹 물류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경영진단을 진행했다. 경영진단 결과 포스코가 지난 한 해 동안 물류 분야에서 ‘체선료’로 지출한 금액이 5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 철광석과 석탄 등을 싣고 오는 선박이 부두에 바로 화물을 내리지 못하고 바다에 떠있는 일이 수시로 발생하면서 해운사 등에 해마다 수백억 원씩을 추가로 지급한 것이다.

 철광석과 석탄을 싣고 온 15만 t급 화물선은 화물을 내리는 데 평균 3, 4일 정도가 걸린다. 하지만 배가 정확히 언제 도착할지 모르면 입항 날짜를 잡지 못해 순번을 대기할 수밖에 없다. 포스코로서는 운항 스케줄 등 물류 정보를 충분히 파악하기만 해도 내지 않아도 되는 ‘헛돈’을 쓴 셈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포스코 그룹의 총물동량이 연간 3조 원 규모에 이를 정도로 막대한데 관리 방식은 너무 허술하다는 내부 비판이 컸다”고 전했다.

 포스코 계열사들이 각각 물류·해운업체와 계약을 맺으면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회사들은 협상력에서 현저히 불리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화물 운송과 보관 등에서 비슷한 조건임에도 작은 회사가 2배 이상의 비용을 치르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올해 초에는 포스코가 철강제품 운송서비스 입찰 과정에서 국내 8개 물류업체로부터 18년 동안 입찰 담합 피해를 입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포스코GSP를 통해 주요 화물의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시스템을 만드는 등 그룹사의 물류업무를 일원화하고 물류 서비스를 통합 운영해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또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 물류 플랫폼으로 장기적으로 그룹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물류·해운업계에서 제기하고 있는 ‘포스코GSP 설립 추진이 포스코의 해운업 진출을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포스코는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앞서 15일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포스코의 해운업 진출은 불가능하고 그럴 생각도 없다”며 선을 그은 상황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포스코는 기존에도 ‘최저가 입찰’이 아닌 ‘최저가 제한 입찰제’ 등으로 상생을 추구해 왔다”며 “포스코GSP를 통해 물류 업계와 상생 관계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도형 dod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