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들의 갑()질 구설이 하루가 멀다 하고 터져 나온다. 윤후덕 의원의 딸 취업 청탁, 신기남 의원의 아들 로스쿨 졸업시험 관련 압박, 노영민 의원의 카드단말기 결제 시집 판매에 이어 이번엔 박대동 새누리당 의원의 보좌관 월급 갈취까지 터졌다. 앞의 세 의원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다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을()지로위원회 소속이다. 공인 의식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이런 추태는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박 의원은 작년 1월까지 고용했던 5급 비서관 P 씨한테서 지역구(울산 북구) 사무실 운영비 명목으로 매달 120만 원씩, 13개월 동안 약 1500만 원을 받았다고 한다. 120만 원이면 월급의 약 3분의 1이다. P 씨가 생활이 어렵다고 하자 (박 의원이) 너 여기 돈 벌러 왔나고 압박했다는 것이다. 그래 놓고 P 씨가 동의했다는 거짓 해명을 했다. 돈의 용처는 더 황당하다. P 씨가 나중에 알아보니 박 의원의 아파트 관리비와 가스비, 요구르트 대금으로 쓰였다고 한다. 이쯤 되면 공금 횡령이라고 할 만하다.
국회의원은 인턴 2명을 포함해 9명의 보좌관을 둘 수 있다. 보좌관 수가 너무 많다. 의원들의 보좌관 급여 갈취는 잘 드러나지 않아서 그렇지 비일비재하다. 채용 시 아예 급여 반납을 조건으로 달거나, 직급을 올려주면서 차액을 가로채는 경우도 있다. 가족이나 친척, 심지어 존재하지도 않는 유령을 보좌관으로 등록해 월급을 빼먹는다. 의원들이 이런 짓이나 하려고 야금야금 보좌관 수를 늘려 놓은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국회의원은 연 1억3796만 원의 세비() 외에 억대의 후원금도 거둔다. 보좌진, 사무실, 차량 운영비 일체를 국고에서 지원받는다. 박 의원의 올해 신고 재산은 8억7000만 원대다. 작년보다 약 1억 원 늘었다. 그런 터에 보좌관 월급까지 탐하다니 벼룩의 간 빼 먹기가 따로 없다. 박 의원은 올 9월 비정규직 관련 법안 발의에 이름을 올렸다. 겉으로 약자를 위하는 척하면서 뒤로 호박씨 까는 의원들이다.
이 진 녕 논설위원 jinny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