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10년만에 금리 3% 시대, 이자 부담 12조 는다

10년만에 금리 3% 시대, 이자 부담 12조 는다

Posted October. 13, 2022 07:57   

Updated October. 13, 2022 07:57

中文

 한국은행이 고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역대 두 번째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에 3%대로 올라섰다. 이번 빅스텝으로 가계와 기업의 연간 이자 부담은 12조 원 넘게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2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연 2.50%인 기준금리를 3.00%로 0.50%포인트 전격 인상했다. 올해 7월 사상 첫 빅스텝을 결정한 한은은 8월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며 속도 조절에 나서는 듯했지만 다시 보폭을 넓혔다.

 한은은 지난해 8월 사실상 ‘제로금리’에 가까운 수준(0.50%)이던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해 1년 2개월 새 2.50%포인트를 높였다. 올해 4, 5, 7, 8월에 이어 다섯 차례 회의에서 금리를 연속 인상한 것은 한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한은이 7월에 이어 다시 빅스텝을 밟은 건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을 통해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환율 상승으로 물가의 추가 상승 압력과 외환 부문의 리스크가 증대되고 있는 만큼 정책 대응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월(6.3%) 이후 두 달 연속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5%대 중후반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1400원을 훌쩍 넘은 원-달러 환율도 고물가를 부추기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으로 한미 기준금리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도 추가 빅스텝 결정의 배경이 됐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 상단은 3.25%로 금리 차는 0.25%포인트로 좁혀졌지만 연준이 다음 달 초 다시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으로 예상돼 향후 금리 차는 1%포인트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한미 금리 차가 벌어지면 원화 가치가 떨어져 물가 상승 압력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처럼 한은의 금리 인상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대출자와 기업들의 이자 부담을 크게 늘릴 것으로 우려된다.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 회복세를 꺾을 소지도 크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빅스텝으로 가계와 기업의 연간 이자 부담은 12조2000억 원 더 늘고, 경제성장률은 0.1%포인트 더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한은 빅스텝 등의 영향으로 전날보다 10.3원 내린 1424.9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민우 minw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