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황혼이혼도 늦으리 이제 대입 이혼

Posted August. 13, 2007 07:08   

中文

결혼 22년차인 정미숙(48•가명•공무원) 씨는 올해 1월 딸(19)의 대학 합격 소식이 나온 며칠 후 서울가정법원에 이혼 소송을 냈다. 정 씨의 남편(49)은 10여 년 전부터 술만 마시면 폭언을 일삼았다. 5년 전 회사를 그만 둔 뒤로는 정도가 점점 심해졌다. 고정 수입은 정 씨의 월급이 전부여서 생활비와 교육비가 늘 빠듯했다. 정 씨는 남편에게 알코올의존증 치료를 권했지만 거절당하자 지난해 이혼을 결심했다.

하지만 이혼 소송을 내기까지 1년을 꾹 참았다. 수험생인 딸에게 나쁜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였다. 딸의 대학 합격은 정 씨에게도 새로운 삶의 시작을 의미했다.

자녀의 대학 입학을 계기로 부부가 이혼 서류에 도장을 찍는 대입 이혼이 늘고 있다.

1990년대 일본에서는 남편의 정년퇴직 직후 부부가 갈라서는 황혼 이혼이 사회 문제가 됐다. 한국에서도 2000년대 들어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혼을 결심하는 시기가 남편의 정년퇴직 때가 아닌 자녀의 대학입학 시기로 크게 앞당겨지고 있다.

대입 이혼, 왜 늘어나나

박정은(41가명) 씨는 3년 전부터 한 달에 한 번씩 지방의 치매노인 단체를 찾아 봉사활동을 다니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온 남편(44)과 현재 이혼 절차를 밟고 있다.

박 씨는 남편은 내가 집에만 있기를 원했고 언제나 가정에서 왕처럼 군림하려 했다며 21, 20세 두 아들도 다 키웠으니 나도 새 삶을 찾기 위해 이혼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자녀가 대학에 진학하게 되는 결혼 20년차가 되면 상당수 중년 여성이 제2의 인생에 대한 갈망이 커진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그럼에도 남편이 권위적으로 부인의 대외 활동을 억압하거나 간섭하게 되면 부부간 충돌이 빚어진다는 것.

여기에 여성들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고 재취업의 기회가 늘어난 반면 남성은 거꾸로 조기 퇴직이 일반화된 점도 중년 부부의 이혼율을 높이고 있다.

결혼 20년차로 19, 17세 두 자녀를 둔 김숙영(45가명) 씨는 남편(48)의 잦은 외도와 무시를 참지 못하고 최근 이혼했다.

김 씨는 가정부 일을 하더라도 한 살이라도 더 젊어야 일자리를 구할 수 있지 않겠느냐며 남편을 믿을 수도, 자식들에게 기댈 수도 없으니 나를 위해 이혼밖에 선택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법률구조법인 대한가정법률복지상담원 양정자 원장은 예전처럼 남편의 퇴직금으로 편한 노후 생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차라리 조금이라도 젊을 때 남편에게서 경제적으로 독립하려는 중년 여성이 상당히 많다며 이런 가운데 부부간 갈등을 빚고 있다면 자녀의 대학 입학은 이혼 결심을 굳히는 큰 원인이 된다고 말했다.

대입 이혼, 얼마나 늘었나

통계청이 발표한 2006년 이혼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이혼한 부부는 12만5032쌍으로 2005년에 비해 2.7% 감소했다.

1980년대 말부터 급증하던 이혼은 2004년에 전년보다 16.6% 줄어든 이후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05년 3월 이혼숙려제 도입 이후 이혼은 크게 줄었다.

하지만 2005년부터 65세 이상 노년 부부의 황혼 이혼이 늘더니, 지난해에는 4554세 중년 부부의 이혼이 크게 늘었다.

다른 연령대에서 이혼율이 계속 줄고 있는 것과 대비되는 현상이다.

지난해 4549세 여성 중 이혼한 사람은 2005년보다 10.1%가 늘었다. 5054세 여성은 2005년보다 16.9%가 더 이혼했다.

20대 중후반에 결혼하는 여성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40대 중후반 여성의 이혼 시기는 자녀들의 대학 입학 시점과 맞물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가정법률상담소가 지난해 접수한 전체 이혼 상담 건수(8460건) 가운데 40, 50대 중년 부부의 상담 건수는 4454건으로 절반이 넘는 52.7%를 차지했다.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조경애 상담위원은 아버지의 폭력과 외도 등을 지켜본 자녀들이 대학에 입학한 뒤 어머니에게 제2의 인생을 찾으라며 이혼을 권유하는 사례도 많다고 전했다.



홍수영 gae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