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美연준, 기준금리 동결 했지만… 파월 “금리 인하는 고려 안해”

입력 | 2023-11-02 03:10:00

美 연준 금리 5.25~5.50% 유지
파월 “국채금리 상승 금융조건 긴축”
美 경제성장-국채금리가 향후 변수
시장 “금리 인상 끝났다” 뉴욕증시 상승
나스닥 1.64%↑ 10년 물 국채 4.7%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1일(현지시간) “금리 인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국채금리 상승이 연준의 정책 경로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고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금리 인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고금리의 장기화를 시사했다. 시장은 ‘금리 인상은 끝났다’는 데 무게를 둬 뉴욕증시는 안도 랠리를 펼쳤고, 국채금리는 일제히 하락했다.

연준은 지난달 31일과 1일 이틀에 걸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최근 지표에 따르면 3분기에 경제 활동이 ‘강한 속도(strong pace)’로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고,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2%대 물가 상승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유지하고 향후 영향을 계속 평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연준은 미 경제성장을 ‘견고한 속도’라고 표현했는데 이를 강하다는 표현으로 수정했다.

올해 7번 열린 FOMC 정례회에서 6월, 9월 회의에 이은 세 번째 금리 동결이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5.25~5.50%로 한국과 금리 격차를 최대 2.0%포인트로 유지했다.






●파월 “금리 인하 고려 안해”


연준이 11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은 이미 예견돼 왔기 때문에 시장은 파월 연준 의장이 올해 마지막 FOMC 회의가 될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과 향후 고금리 장기화에 대한 발언에 이목이 쏠렸다.

연준은 9월 내놓은 경제요약전망(SEP) 점도표에서 연말 한 차례 금리 인상해 올해 최종 금리가 5.50~5.75%까지 오를 것을 시사한 바 있다.

하지만 제롬 파월 의장은 “점도표의 효력은 시간이 지나면 퇴색할 수 있다. SEP는 멀리 내다보는 큰 그림일 뿐”이라며 “12월에 새로운 점도표가 나올 것이고, 아직 향후 회의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는 12월 금리 동결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이다.

‘고금리의 장기화’ 견해는 강조했다. 연준이 12월에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이제 금리 인상은 더 이상 없을 것으로 봐도 되느냐’는 질문에 파월 의장은 아니라고 답했다. 그는 “위원회는 전혀 금리 인하에 대해 생각하거나 거론하지 않고 있다. 우리의 초점은 여전히 미국 물가상승률이 2%대에 도달하기 위해 충분히 제약적인 정책을 유지하고 있느냐 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금리를 동결했다가 다시 올리는 게 어려울 거라는 생각은 맞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어 파월 의장은 “아직 (현 금리가) 충분히 제약적인 상황에 놓여 있지 않다고 본다. 하지만 2%대 물가 정책 목표까지 도달하기엔 갈 길이 아직 멀다”고 말했다.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9월에 3.7%로 시장 전망에 부합하는 등 둔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2%대 물가를 상회하고 있다.




●향후 미 경제가 관건…“성장 둔화돼야”





향후 연준의 정책 경로 변수는 미국의 강력한 경제 성장세와 국채 금리 향방이다. 강력한 경제는 인플레이션 상승 압박으로 이어져 추가 인상이나 고금리 장기화를 가능케 한다. 16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던 미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시장 대출금리 상승과 직결돼 연준이 정책 금리를 올리지 않아도 시장 금융 조건을 긴축하는 효과가 있다.

미 경제에 대해서 연준은 성명에 “강력한 속도”라는 문구를 새롭게 넣었고, 장기 국채금리 상승과 관련에선 성명에 “금융 조건에 압박이 있다”는 문구를 넣었다.

파월 의장은 미 3분기(7~9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9%로 예상을 뛰어넘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지난해부터 기준 금리를 5.25%포인트 올렸는데도 미국 경제가 회복력이 강하다는 점은 기쁜(gratifying) 일”이라면서도 “경제가 과열되면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 물가 안정 목표를 달성하려면 미 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 밑을 하회해야하고, 노동 시장은 둔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향후 인플레이션 경로의 핵심 바로미터는 노동시장이 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미 장기 국채금리에 대해서 파월 의장은 재차 연준의 정책 금리 탓이 아니라고 말했다. 재정적자 우려를 포함해 오랜 기간 국채를 보유할 때 위험을 보상해줘야 하는 ‘기간 프리미엄’이 올랐다고 본 것이다.

파월 의장은 “여름 이후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 조건 긴축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금융 조건이 긴축되면(국채 금리가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 연준 정책 금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미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이날 오전 재무부가 장기 국채 발행 규모 확대에 속도 조절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4.7%대로 급락했다. 재무부가 발표한 발행 규모도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다. 재무부는 오는 15일 만기가 도래하는 1022억 달러 채권 상환을 위해 다음주 1120억 달러 규모 국채를 입찰에 부치겠다고 밝혔다.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이 끝났다는 시장의 해석과 미 재무부의 국채 발행 속도조절 방침에 따라 이날 뉴욕증시는 상승 랠리를 펼쳤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67%,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05%, 나스닥 종합 지수 는 1.64% 올랐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