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민화협 “북수해 지원 모금”... 정부와 엇박자

민화협 “북수해 지원 모금”... 정부와 엇박자

Posted September. 22, 2016 08:34,   

Updated September. 22, 2016 08:39

日本語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가 21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 수해지역 지원을 위한 범국민 모금운동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민화협은 수해지역 어린이들에게 지급할 방한복을 지원품목으로 정했다. 시멘트, 쌀 등 전략물자로 전용될 수 있는 품목이 불러올 논란을 피해 가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민화협 관계자는 “수해지역이 한반도 최북단이어서 한 달 뒤에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다고 한다”며 방한 장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원 방법도 먼저 자금이 확보되는 대로 방한복을 구매해 북-중 접경지역인 지린(吉林) 성 훈춘(琿春)에 물건을 보관했다가 정부의 허가가 나면 북한에 들여보내는 방식을 택했다. 전날(20일)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가 수해 지원을 위해 방북 신청을 냈다가 통일부로부터 불허당한 상황을 감안한 것이다.

 민화협은 “수해지역에서 1만7000가구가 완전 수몰됐다면 최소 1만7000명의 어린이가 이재민이 된 만큼 종교계의 성원이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민화협은 여야는 물론이고 보수·진보를 아우르는 180여 개 정당, 종교, 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새누리당 출신인 홍사덕 민화협 대표상임의장(사진)이 이끌고 있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유엔은 북한 함경북도 수해지역에 2차 실사단을 파견해 무산군, 연사군 일대의 현지 조사에 착수했다. 실사단은 현지 피해 상황과 지원 필요 품목을 점검하는 한편 구호품이 제대로 분배되는지 감시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도 북한 당국의 요청을 받아 영양 비스킷 77t, 콩 79t을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는 수해에도 불구하고 5차 핵실험 등 연쇄 도발을 일으키는 한편 수해 지원을 요청하는 북한의 이중적인 태도에 호응하기 어렵다는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5차 핵실험(9월 9일) 이후 노동당 창건일(10월 10일)에 맞춰 추가 도발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수해 지원을 위한 방북 적절성에 대해 “북한에서 해방 이후 최악의 피해를 봤다면서도 김정은은 엔진 실험장에서 활짝 웃고 있다. 이런 이중적인 북한의 태도를 고려할 때 (방북을 요청한) 북민협의 움직임이 적절한지 자문해 볼 때”라고 말했다. 통일부는 민화협의 모금 운동 자체에 대해선 별다른 논평을 하지 않았다.

조숭호 기자 shc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