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일상징 도요타 - 소니 생산중단 최소 11조원 피해 (일)

일상징 도요타 - 소니 생산중단 최소 11조원 피해 (일)

Posted March. 14, 2011 08:21,   

日本語

세계 3대 경제대국 일본의 산업이 강진과 지진해일(쓰나미)에 큰 타격을 입었다. 주력 산업인 자동차, 전자,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 분야 등의 주요 기업들이 생산을 중단했고 일부는 생산설비마저 파괴됐다.

일본 보험업계에서는 산업 피해가 최소 100억 달러(약 11조235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전문가들도 정확한 피해 규모는 추산조차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여진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피해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주력 산업 줄줄이 가동 중단

세계 최대 자동차업체인 도요타자동차를 비롯해 닛산, 혼다 등 주요 자동차 기업의 상당수 공장이 멈춰 섰다. 도요타자동차는 14일부터 일본 내 자회사를 포함한 모든 공장의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는 직원 및 가족의 안전 확인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한 조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도요타가 19년 만에 일본에 건설해 지난달 가동한 완성차 공장인 미야기 공장과 이와테 공장의 조업 중단사태가 1주일 지속되면 차량 1만 대 이상의 생산이 줄어든다.

닛산도 이와키공장, 도치기공장 등 5개 공장의 생산을 일단 중단했다. 납품업체 피해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재가동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혼다도 사이타마제작소, 도치기제작소, 하마마쓰제작소 조업이 중단됐다. 도치기 사륜연구개발(R&D)센터는 일부 건물 벽이 무너지면서 직원 1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전자업계도 공장 침수 등의 피해를 봤다. 소니는 동북지방 6개 공장의 조업이 모두 중단됐고, 미야기 현에 있는 자회사의 공장이 침수되면서 직원 1000여 명이 피신하는 소동을 빚었다. 파나소닉과 파이오니아 등도 생산시설이 일부 파손됐다.

세계 2위 낸드플래시 메모리 생산업체인 도시바의 요카이치 플래시메모리 공장도 지진 발생 직후 생산을 일시 중단했고, 캐논의 우쓰노미야시 공장은 정전으로 조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일본 최대의 정유업체인 JX니폰오일앤드에너지는 센다이 등의 공장 가동을 중단했고, 고스모석유 이치하라 정유시설에서는 화재가 발생했다. 세계 5위 철강회사인 JFE홀딩스는 지바제철소 폭발사고로 가동이 중단됐고, 일본 최대 전기로 업체인 도쿄제철도 정전으로 가동이 중단됐다.

원전 가동 중단으로 에너지 확보도 난항 우려

이번 지진으로 일본 내 원전이 큰 피해를 보면서 일본은 전력수급 등 에너지원 확보에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본은 전국에 54기의 원전을 운영해 국내 전기 수요의 30%를 충당해 왔다. 그러나 13일 현재 지진 피해로 원전 10기의 가동이 완전 중단되면서 많은 지역의 전기가 끊긴 상태다. 일본 언론들은 후쿠시마 원전 가동 중단으로 전기 공급이 끊긴 도쿄 인근 가구 수만 330만 명에 이른다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14일부터 정부 차원의 전기공급 제한 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원전이 멈추면서 일본 정부는 가스, 석탄 등 대체 에너지원 찾기에 나섰다. 러시아 언론들은 이고르 세친 부총리의 말을 인용해 일본이 러시아에 액화천연가스(LNG)와 석탄 공급량을 늘려 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발전업계에 따르면 원전 발전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은 가스와 석탄뿐이다. 원전 발전을 가스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1기에 100만 t의 가스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원전 가동중단 사태가 장기화되면 국제시장에서 가스 등 에너지원 확보 경쟁이 가열돼 한국도 악영향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다음 달까지는 국내 가스 수급에 문제가 없다면서도 (난방용 수요가 많은) 겨울까지 (일본 사태가) 가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일반적으로 가스 가격이 오르면 유가도 함께 오르는 경향이 있다며 이번 사고로 일본 내에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거부감이 높아진다면 장기적으로 유가 등 대체에너지 가격이 높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향후 일본의 지진 피해 복구가 본격화되면 철, 구리 등 각종 건설 원자재 수요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13일 관계부처 종합 긴급대응 회의를 열고 산업계 동향 점검 및 에너지원자재 수급 전망을 논의했다.



유덕영 임우선 firedy@donga.com ims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