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저 멀리 군중을 떠나, 삶의 허무를 껴안는 필의 노래여

저 멀리 군중을 떠나, 삶의 허무를 껴안는 필의 노래여

Posted February. 17, 2007 07:26,   

日本語

김훈은 먼저 글로써 나를 사로잡은 사람이다. 2001년 봄 서점에서 책을 한 권 샀다. 기자 출신 작가가 썼다는 소설. 칼의 노래라는 제목의 소설을 읽으면서 나는 그 작가의 문장에 매혹됐다. 그때부터 그 사람, 김훈이라는 이름으로 쓰인 글을 긁어모으기 시작했다.

나는 김훈의 조각글부터 인터뷰 기사, 수필집, 소설에 이르기까지 그가 쓴, 혹은 그에 대한 입수 가능한 모든 글을 읽었다. 적게는 서너 번에서 많게는 열 번 이상, 밑줄을 그어가면서 읽었다. 칼의 노래만 열 번, 이어 나온 장편 현의 노래는 세 번 읽었다. 명화를 들여다보듯이 읽었다.

나는 문학에는 문외한이다. 전에 이문열 작가의 소설을 좀 좋아했던 정도다.

사랑에 빠진 남녀에게 왜 그 사람이 좋으냐는 질문을 하면 좋아하는 데 무슨 이유가 있느냐는 답이 돌아온다. 왜 김훈인가라고 내게 묻는다면 그냥 좋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나는 그에게 중독됐다. 칼의 노래의 냉철하고 간결한 문체도, 기자 시절 문학 기사의 유려한 미문도 똑같이 울림을 준다.

김훈은 잘생겼다. 그의 외양은 꽉 찬 듯 비어 있고, 단호한 듯 온화하다. 얼핏 보기에는 사람을 밀쳐내는 눈빛이지만 가까이 보면 거역할 수 없이 사람을 끌어당긴다.

그와 자리를 같이하다 보면 순식간에 그의 매력에 빠져든다. 그의 말은 망치 같기도 하고 송곳 같기도 하다. 몽롱한 듯 명료하다. 표적 없이 내뱉는 듯하면서도 정곡을 겨누고 있다. 이런 무엇보다도 좌중을 뒤집어 놓는 그의 유머가 나는 좋다.

글로 밥벌이를 하는 김훈은 몸()과 말과 글과 삶에 어긋남이 없는 사람이다. 거기 그의 힘이 있고 매력이 있다. 시류에 편승하지 않는 그의 글은 안티도 많이 만들어 낸다. 그는 개발자국으로 남은 마을이라는 글에서 나는 보편과 객관을 걷어치우고 집단의 정의를 조롱해 가면서 나 자신의 편애와 편견을 향하여 만신창이로 나아갈 것이다. 글 쓰는 자의 적은 끝끝내 그 독자들이다. 그러므로 글쓰기는 영원히 일인 대 만인의 싸움일 뿐이다라고 썼다. 그는 타인이 지적하는 그의 오류를 잘 안다. 그러나 내 문장은 내면에서 올라오는 필연성이다. 오류를 알지만 고쳐지지 않는다. 다른 길이 보여도 발이 그쪽으로 가지 않는다고 말한다. 나는 그의 오류를 사랑한다.

나는 하늘이 낸 재주보다는 노동의 힘을 믿는다. 천재들은 모두가 근면한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노동은 밥벌이의 수단이었다. 나는 밥이나 돈을 가벼이 말하는 사람을 믿지 않는다. 인간에게 스스로 생명을 부지한다는 것만큼 급박하고 숭고한 사명은 없다. 그 외의 것은 모두 그 다음의 일이고 부차적인 일이다. 김훈은 밥벌이와 노동의 중차대함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사람이다. 그래서 그는 아들아, 사내의 삶은 쉽지 않다. 돈과 밥의 두려움을 마땅히 알라. 돈과 밥 앞에서 어리광을 부리지 말고 주접을 떨지 말라고 썼다. 그런 점에서 그와 나는 통한다.

그러나 김훈은 밥벌이가 인간을 망가뜨릴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 한 인터뷰에서 기자를 보면 기자 같고 형사를 보면 형사 같고 검사를 보면 검사 같은 자들은 노동 때문에 망가진 거다. 뭘 해먹고 사는지 감이 안 와야 그 인간이 온전한 인간이다라고 말했다.

그의 미술에 대한 감각은 어느 평론가 못지않다.

산문집 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에서 이중섭이나 겸재 정선,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해 쓸 때 그는 어느 미술비평가도 이르지 못한 미세한 경지를 본다.

소쇄원을 쓰고 강원 삼척시 덕산해수욕장의 박억만 씨 민박집을 쓸 때 그는 삶의 본질을 통해 건축을 말한다. 축구는 그의 글 속에서 인문화하고 황동규, 이성부, 곽재구, 이성복, 황지우, 고정희의 시들은 그의 글로 새롭게 태어난다.

김훈을 무책임한 허무주의자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의 글에는 세상의 진실을 보아버린 자의 허망함이 배어 있다. 그러나 무책임하다는 수식어가 합당한지는 나는 모르겠다. 그는 세상의 절망을 말하되 모든 가치를 부정하는 허무주의자는 아니다. 그는 세상은 읽혀지거나 설명되는 곳이 아니고, 다만 살아낼 수밖에 없을 터이다라고 말하는 사람이다.

그는 칼의 노래 서문에 나는 인간에 대한 모든 연민을 버리기로 했다. 연민을 버려야만 세상은 보일 듯싶었다. 연민은 쉽게 버려지지 않았다라고 썼다.

그는 사랑은 불가능에 대한 사랑일 뿐이라고 부르짖지만 끝내 사랑을 버리지 못한다. 자신의 절박한 오류와 더불어 앞으로 나아가는 김훈의 삶은 그의 문장만큼 아름답다. 나는, 그의 다음 소설을 고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