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 월급쟁이 3중고

Posted April. 01, 2006 03:00,   

日本語

근무하면서 구경 다니고, 근무하면서 맛있는 거 먹고, 봉급 받으면서 놀고. 출장, 점심과 휴가를 봉급쟁이 삼락()으로 꼽은 책이 있었다. 월급쟁이 인생도 즐겁기만 하다는 거다. 외환위기 때 부도위기의 중소기업 사장들이 가장 부러워한 월급쟁이들은 눈치 9단 주특기에 안면몰수, 뻗대기, 우기기 등 서바이벌 비법을 자랑한다. 회사에서 오래 살아남아 미운 상사에게 보복하기를 꿈꾸는 월급쟁이들은 요즘 세금폭탄 위협 등으로 허리가 휜다.

연초부터 월급쟁이를 괴롭힌 것은 세금. 난데없이 양극화 해소를 위해 이미 얄팍해진 지갑을 또 털릴 위기다. 노무현 대통령이 증세() 타깃을 상위 20%에서 상위 10%로 슬쩍 바꿨지만 말이 그렇다는 것뿐, 웬만한 월급쟁이들이 세금유도탄에 노출되기는 매한가지다. 국세청이 소득을 고스란히 파악하는 유리지갑인 탓이다. 영수증 챙겨가며 연말정산 전투에서 조그맣게 승리해 봤자 증세 전쟁에서 패하면 그뿐이다.

게다가 330 부동산대책으로 연봉이 적은 월급쟁이는 은행 대출로 내 집을 마련하는 꿈도 가질 수 없게 됐다. 연봉 5000만 원이면 주택투기지역의 대출한도가 최고 2억 원으로 줄어든다. 진짜 부자가 아니면 좋은 집은 꿈도 꾸지 말라는 셈이다. 집이 있다고 마음이 편해지지 않는다. 다섯 가족과 함께 사는 48세의 한 월급쟁이는 36세에 마련한 아파트가 10억 원짜리가 돼 종합부동산세를 내게 되자 인터넷 사이트에서 이렇게 불평했다. 손에 돈은 없는데, 왜 이리 피곤하게 합니까.

1990년대 말 고용불안이란 말이 유행어가 됐다. 사오정(45세 정년) 오륙도(56세 직장인은 도둑) 이태백(20대 태반이 백수) 등 신조어에 5년가량 시달린 월급쟁이 대부분이 오랜 직장생활 꿈을 접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착실한 경기회복으로 월급쟁이 절반 이상이 고용불안감에서 벗어났다고 한다. 역시 성장이다. 좋은 일자리로 상향 이동하는 월급쟁이가 많아져야 4월이 더 따뜻하게 느껴질 텐데.

홍 권 희 논설위원 konih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