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기재부·검찰 출신이 요직 장악…‘그들만의 新관치’ 안 된다

기재부·검찰 출신이 요직 장악…‘그들만의 新관치’ 안 된다

Posted December. 30, 2022 07:39   

Updated December. 30, 2022 07:39

中文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차관급 이상 고위공직자 96명 가운데 정부부처 관료 출신이 절반인 48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통령실과 국무총리비서실, 18개 부처 등에 포진됐다.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등 7명을 제외한 103명에 대한 동아일보 분석 결과다. 정부의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고위공직자 인재풀이 특정 직역에 지나치게 기울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질적으로 정책 결정을 하는 장관급 이상 29명을 분석한 결과 정부 부처나 옛 청와대 등에서 근무했던 인사가 21명(72.4%)이었다. 문재인 정부 첫 인사에선 그 비중이 43.8%였는데 새 정부에서 크게 늘어난 것이다. 특히 기재부 출신은 한덕수 국무총리와 김대기 대통령실장 등을 포함해 5명으로 두드러졌다. 기재부 출신 관료가 통상 경제부처로 가던 관행을 깨고 주요 요직에 진출한 것이다. 정치인인 추경호 경제부총리도 기재부 관료 출신이다.

 기재부 관료 출신 발탁은 경제의 안정적 관리와 운용에 강점이 있다. 하지만 새로운 도전이나 개혁에는 소극적일 것이란 우려도 크다. 기재부는 물러난 선배들이 현역 후배들을 등에 업고 서로 밀어주고 당겨주며 그들만의 리그를 만들어왔다는 지적도 많다. 이들은 한국경제의 성장 단계에서 공도 있었지만 민간으로 경제 주도권이 넘어온 이후에는 ‘관치(官治)’의 주역이라는 비판도 받아왔다. 이런 폐쇄적인 행태 때문에 ‘모피아(MOFIA)’라는 부정적 조어까지 나온 것 아닌가.

 고위공직자 중에서 윤 대통령과 인연을 맺은 검찰 출신 인사들의 약진은 새삼 언급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검찰 출신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발탁은 1999년 금감원 출범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차관급은 아니더라도 대통령실과 총리실, 국가정보원 등 요직 곳곳에 검찰 출신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 이른바 ‘검치(檢治)’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정부 고위직 인사가 모피아·검찰 등 특정 직역에 기울어지면 조직의 역동성은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같은 출신끼리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는 관료 사회 특유의 병폐가 만연해질 수밖에 없어서다. 이럴수록 정부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국민 전체의 시각보다는 자기 세력만 쳐다보고 챙기는 확증편향에 빠질 가능성도 커진다. 글로벌 복합위기를 헤쳐 나가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다. 기재부와 검찰이 장악한 그들만의 신(新)관치를 경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