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동아 조선 중앙 광고 끊어라 조직적 공세

동아 조선 중앙 광고 끊어라 조직적 공세

Posted June. 19, 2008 03:20   

中文

동아 조선 중앙일보 등 3대 메이저 신문에 광고를 게재하는 기업이나 단체를 상대로 한 일부 좌파 세력의 압력과 협박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이들은 주류()신문에 광고를 게재한 기업 등의 홈페이지를 공격하거나 조직적인 협박 전화 등을 통해 정상적 업무를 방해해 왔다.

언론자유와 시장경제를 위협하는 사실상의 광고 테러에 대해 좌파 언론운동세력 및 일부 언론매체는 새로운 시민운동이라고 추켜세우는 실정이다.

광고주 협박 어떻게 진행돼 왔나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한 과장, 왜곡보도로 불안감을 증폭시키는데 결정적 영향을 미친 MBC PD수첩은 지난달 27일 3대 메이저신문을 겨냥해 미국산 쇠고기 문제와 촛불시위 등에 대해 허위 왜곡 보도를 일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음날인 28일 일부 세력이 이번 반()정부 시위에 큰 영향을 미친 다음의 온라인 토론방인 아고라에 조중동에 한방 먹일 실천 방법이란 제목의 글들을 올리면서 이들 3대 신문의 광고주들에 협박 전화를 걸기 시작했다.

다음 관계자는 PD수첩의 방송 내용이 이런 움직임에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1차 공격 대상은 이동통신업계 1위 업체인 SK텔레콤이었다. 아고라에는 SK텔레콤은 이용자가 많아 파급력도 크고 전화하기도 쉽다는 내용과 함께 관련 부서의 전화번화가 올라왔다.

SK텔레콤은 지난달 28일 하루 동안 고객센터, 홍보팀 등으로 약 700통의 전화가 걸려와 사실상 관련 업무가 마비됐다. SK텔레콤 측은 조중동에 광고하지 말고, 촛불시위 적극 보도하는 한겨레 경향신문에 광고해라. 그렇지 않으면 불매운동하겠다는 내용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3대 메이저 신문에 광고를 낸 기업에는 거의 예외 없이 협박전화가 걸려오고 인터넷 홈페이지에 대한 공격도 시작됐다.

다음 카페인 조중동폐간 국민캠페인에는 매일 협박전화를 할 대상 기업 목록(3대 신문에 광고 실은 기업들)을 숙제란 제목으로 올리고 있다. 이 카페에서 숙제하자는 표현은 기업들에 광고 중단 요구 전화 걸자는 뜻이다.

협박 전화의 피해 대상은 신문 광고를 낼 수 있는 대한민국 기업이나 기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달 3일자에 3대 신문에 고유가 원인의 실상 알리는 의견 광고를 낸 대한석유협회에도 협박전화가 잇따랐고, 대한항공 홈페이지 역시 동아 조선 중앙에 광고 넣지 말라는 글로 도배되기도 했다.

식품회사인 N사 등 일부 기업들은 독자들이 많은 3대 신문에 광고하는 게 왜 문제가 되느냐며 원칙론적 자세를 취하자 이들 세력으로부터 집중공격을 당하기도 했다.

다음달 충남 태안군에서 개최되는 에코-힐링(eco-healing) 태안 샌드비스타 마라톤 대회를 알리는 광고가 3대 신문에 게재되자 태안군청 홈페이지는 태안으로 휴가도 안 가겠다는 비난 글로 도배가 됐다.

여행사에 대해서는 예약했다가 취소해서 영업 방해하자고 선동하고, 기업들의 부담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객 상담 수신자부담 전화를 이용해 항의하자는 등의 방법도 소개됐다.

전화 부대 조직적 동원 의혹

협박전화를 받은 한 대형백화점 직원은 전화 내용이 비슷해 전화 부대가 조직적으로 동원된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들었다며 항의 매뉴얼이 있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3개 신문에 1,2단 광고를 주로 싣는 한 결혼정보업체 A사장은 목소리로 짐작컨대 56명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업무시간 동안 돌아가며 50여 통의 전화를 걸어와 직원들이 정상적인 업무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들 전화 부대는 매일 아침 8시, 오전 11시, 오후 4시경 등 일정한 시간을 정해 전화를 걸어 광고하지 말라고 했는데 며칠자 X면에 왜 O단광고 했어?라며 비난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부 신문 광고국 직원들의 이름과 휴대전화 번호까지 상세히 소개하며 심심할 때마다 전화해서 통신망을 마비시키자고 선동하기도 했다.

삼성전자의 한 임원은 우리는 예정됐던 광고는 그대로 집행한다는 방침인데 특정인 1,2명이 시간대별로 전화해 삼성의 태도를 분명히 밝혀라고 압박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인터넷업계 등에서는 이런 심각한 상황에 무감각한 일부 순진한 네티즌과 이를 이념적 투쟁에 이용하는 좌파 세력이 묘하게 얽히면서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온 것 같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