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에어컨 없이 살던 유럽, 극한폭염에 ‘백기’

에어컨 없이 살던 유럽, 극한폭염에 ‘백기’

Posted August. 04, 2023 07:56   

Updated August. 04, 2023 07:56

中文

40도를 넘나드는 폭염에 그간 유럽에서 아예 갖춰 놓지 않았거나 있어도 여름에 잘 쓰지 않던 에어컨의 판매량이 늘고 있다. 몇 년째 이상고온 현상이 나타나면서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에어컨이 사치품에서 필수품으로 바뀌고 있다고 AP통신이 2일 보도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유럽 에어컨 보급률은 2000년 10%에서 지난해 19%로 증가했고 올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에어컨 보급률 91%인 미국과는 비교하기 어렵지만 유럽으로서는 증가세가 뚜렷하다. 아마존비즈니스에 따르면 이달 스페인과 이탈리아, 프랑스에서 이동식 에어컨 판매가 전달보다 20% 이상 증가했다.

이탈리아 전역에 450여 개 매장을 둔 가전업체 유니유로의 최근 일주일 에어컨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 배가량 늘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대부분의 주택과 아파트에 에어컨이 설치돼 있지 않은 프랑스에서도 지난해 100만 대가 팔렸다. 이탈리아 카포스카리대 연구팀은 1990년 5%였던 스페인 가구 에어컨 보급률이 2040년 50%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여름에도 무덥지 않고 서늘한 기후 덕에 서유럽 국가에서는 식당 영화관 등에서도 냉방을 잘 가동하지 않는다. 또 전기요금이 미국 등에 비해 비싸고 여름에 많은 사람이 장기간 휴가를 떠나 에어컨 수요가 적기도 했다. 스페인 등에서는 전통적으로 제일 더운 시간대에 시에스타(낮잠) 같은 휴식 제도를 운영하며 더위를 이겨냈다. 하지만 최악의 폭염이 닥친 올여름은 이 같은 방식이 통하지 않게 됐다는 것이다.

다만 에어컨을 미국에서 수입된 것으로 여겨 반감을 갖거나 온실가스 증가로 환경 훼손을 우려하는 사람 등은 여전히 에어컨 사용을 꺼리고 있다.


윤다빈기자 empt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