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반도체 보조금 허들 높이는 美… 도 넘는 요구 적극 대응해야

반도체 보조금 허들 높이는 美… 도 넘는 요구 적극 대응해야

Posted March. 02, 2023 07:36   

Updated March. 02, 2023 07:36

中文

자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구축에 나서며 막대한 보조금을 내건 미국이 지원 조건을 갈수록 까다롭게 하고 있다. 보조금을 주는 대신 일정 수준 이상의 초과이익을 거둘 경우 미국 정부와 공유할 것과 보안이 중요한 반도체 시설 공개까지 요구하고 나섰다. 선뜻 받아들이기 힘든 조건에 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보조금을 받으면 중국 등에 10년 간 신규투자를 할 수 없다는 ‘가드레일’ 조치까지 예고된 상황에서 투자 득실 계산이 복잡해졌다.

그제 미 상무부는 반도체과학법에 따라 52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보조금을 지급하는 6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1억5000만 달러 이상 지원금을 받는 기업이 예상을 초과하는 이익을 올릴 경우 일부를 미국 정부가 환수하겠다고 했다. 반도체 생산 및 연구 시설을 미 정부에 공개하는 기업에 보조금 우선순위를 두겠다는 뜻도 밝혔다. 보조금을 활용한 배당금, 자사주매입을 제한하고 보육 시설을 설치하도록 하는 등의 부담스러운 조건도 붙었다.

미국 정부의 조건은 지나치다. 첨단기술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반도체 기업에게 핵심 보안시설의 문을 열어달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다. 초과이익 환수를 이유로 기업의 회계장부까지 들여다보겠다는 것도 지나친 경영 간섭이 될 수 있다. 미국 내에서도 기업들에게 부담을 주면서 반도체 공장 건설을 어렵게 하는 ‘과도한 시장 개입’이라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한국 기업들로선 보조금을 덜컥 받았다가 자칫 더 큰 혹을 달게 될 우려도 있다.

하지만 미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참여는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다. 반도체 지식재산권과 생산 장비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데다 핵심 안보동맹인 미국의 손을 놓을 수 없는 게 현실이다. 그렇다고 반도체 수출의 40%를 차지하는 중국에 등을 돌리기도 힘든 상황이기도 하다. 미국 정부의 보조금도, 중국 시장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한국으로서는 종합적이고 전략적인 판단이 요구된다.

이는 기업의 개별 노력에만 맡겨 둘 수가 없다. 정부가 나서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 최근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 대규모로 투자하며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한 바도 인정받아야 한다. ‘칩4 동맹’에 적극 참여해 미국으로부터 장비·수출 규제 유예 기간 연장 등의 약속을 받아내야 한다. 필요하면 일본 대만 등 동맹국과 공조를 통해 함께 목소리를 높일 수도 있다. 지난해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통과 이후 한국산 전기차가 보조금 차별을 당했던 전철을 되풀이해선 안 된다. 미국에 협력할 것은 협력하되 무리한 요구에는 정당한 요구를 해서 한미가 서로 윈윈하는 해법을 이끌어내야 한다.